국방위, ‘윤일병사망’ 현장방문…”무관심” 질타
수정 2014-08-05 16:00
입력 2014-08-05 00:00
사고 의무반 부실관리 확인…사병 20여명과 간담회도
“사고 장소가 완전히 사각지대였던 것 같다”, “순찰, 관리 안한 직무유기도 수사해야 한다”5일 선임병의 비인간적 가혹행위 끝에 숨진 윤 모 일병이 근무한 경기 연천의 28사단을 방문한 국회 국방위원들은 군 관계자들로부터 사건 당시 상황을 보고받으며 이렇게 혀를 찼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10명 정도가 사용할 수 있는 해당 의무반은 사고 이후 병장들만 사용하는 생활관으로 바뀌었지만 윤 일병이 사용했던 사물함이나 자리는 그대로 있었다.
황진하 국방위원장은 “밖에 공중전화도 있고 (폭행을 하면) 옆에서 소리도 들리는데 조금만 신경 쓰면 모를 리 없었다”면서 “완전히 사각지대였고, 또 대대에서 떨어져서 관심도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황 위원장은 또 윤 일병이 의식을 잃자 가해 병사들이 구급차에 실어 외부 병원으로 후송했다는 보고를 접하고 “어떻게 사병이 제멋대로 구급차를 대고, 일직 사관에 보고 하느냐”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은 “옆 생활관에서도 소리가 들리는데 구타가 일상화돼서 신경을 안쓴 것 아니냐”면서 “여기서 사망상태였다면 변사, 또는 준변사 사건인데 어떻게 최초 보도자료를 음식물을 먹다가 죽었다고 내느냐”고 비판했다.
같은 당 안규백 의원도 “어떻게 몇 달 동안 감지를 못하느냐”고 지휘관의 무관심을 질타했다.
국군 기무사령관 출신인 새누리당 송영근 의원은 “1차적 책임은 본부포대 행정관과 매일 순찰을 다니게 돼 있는 주임 원사에게 있다”고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 윤후덕 의원은 “이미 후송할 때 뇌사상태였는데 군은 처음에 회식 중이었다고 허위 보도자료를 낸 것 아니냐”면서 “은폐 수사를 한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진성준 의원도 “음식물을 억지로 먹이는 것도 고문 행위”라면서 “제대로 순찰하지 않고, 관리하지 않은 데 대한 직무유기도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사건을 수사했던 문병규 6군단 헌병대장은 “사망은 저희가 판정하는 게 아니라 의사가 판정하는 것으로서 후송 동안 맥박이 약간 있었다고 한다”면서 “헌병대로서는 전혀 축소할 이유가 없다”고 해명했다.
또 다른 헌병대 관계자는 “전임 대대장 때는 (소속 본부가 아닌) 다른 포대에서 의무반을 담당하도록 했다”면서 “책임 있는 간부들이 제대로 안했고, 지휘계통 신고가 안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방위원들은 해당 부대의 병사들로부터 직접 애로 사항을 듣기 위해 이병부터 병장까지 20여명과 간담회를 열기도 했다.
이날 현장 방문에는 새누리당 김성찬 홍철호 손인춘, 새정치민주연합 권은희 의원도 참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