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타냐후 만난 트럼프 “정착촌 건설 보류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준규 기자
수정 2017-02-17 01:50
입력 2017-02-16 23:02

기존 지지 행보서 상당히 후퇴

이·팔 ‘2국가 해법’ 고수 안 할 듯
이미지 확대
“골란고원 이스라엘 영토로 인정해달라”
“골란고원 이스라엘 영토로 인정해달라”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1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자치령 내 정착촌 확장 건설 활동을 보류할 것을 이스라엘에 요구했다. 그동안 친이스라엘 발언을 이어갔던 모습에서 상당히 후퇴한 모습이다. 이는 러시아와의 유착설로 곤경에 빠지면서 다른 국가와 적당한 거리를 둬야 한다는 측근들의 조언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네타냐후 총리에게 “나는 당신이 정착촌(확장)을 잠시 보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뭔가를 할 것이지만, 나는 거래가 성사되는 것을 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장 건설을 지지했던 그동안의 행보에서 한발 물러서면서도 미국과 이스라엘 동맹 간 깨지지 않는 유대를 강조했다.

또 이·팔 평화공존 구상인 ‘2국가 해법’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두 당사자가 좋아하는 해법을 좋아한다. 한 국가 해법이든 두 국가 해법이든 수용할 수 있다”고 말해 ‘2국가 해법’에 집착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는 2국가 해법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버락 오바마 전임 정부의 입장과는 확연히 다른 것이다. ‘2국가 해법’은 1967년 경계선을 기준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국가를 각각 건설해 영구히 분쟁을 없애자는 방안이다.

한편 네타냐후 총리는 “미국이 골란고원을 이스라엘의 일부로 인정해 달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했다”면서 “내 요청에 트럼프 대통령이 놀라지는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적으로 거부감을 표시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이스라엘 동북부와 시리아 남서부 사이에 있는 골란고원은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후 시리아로부터 빼앗아 1981년 강제 합병한 전략적 요충지이다. 이 때문에 미국과 국제사회는 그간 이스라엘의 골란고원 합병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이스라엘은 지금까지도 그 일대에 자국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7-02-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