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中스마트폰업체 오포에 7000억원대 추징금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수정 2022-07-14 14:35
입력 2022-07-14 12:53

탈세 및 중국 정부 불법 보조금 등 혐의
국경 분쟁 이후 인도의 반중 기조 본격화

이미지 확대
중국 상하이 도심의 오포 휴대전화 매장. 서울신문 DB
중국 상하이 도심의 오포 휴대전화 매장. 서울신문 DB
인도 정부가 ‘중국 휴대전화 때리기’를 멈추지 않고 있다. 샤오미와 비보에 이어 이번에는 오포에 대해서도 천문학적 추징금을 부과했다.

14일 인도 매체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따르면 인도 금융범죄수사국(ED)은 오포 인도 법인이 439억 루피(약 7200억원) 규모 관세를 회피한 혐의로 해당 금액을 추징하겠다고 통보했다. 조사 당국은 오포 인도 법인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휴대전화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수입하면서 면세 규정을 부당하게 적용하고 로열티·라이선스 비용도 부풀린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오포는 추징 통보에 대해 검토한 뒤 법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포 대변인은 “회사는 추징금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 이는 (우리뿐 아니라) 업계 전반의 문제”라며 “관련 부처 등과 협의해 우리의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최근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불법 해외송금 혐의로 샤오미 인도 법인 계좌에서 약 9000억원을 압수했고, 이달 초에는 비보의 현지 사무실과 관련 업체 48곳을 수색해 760억원을 압수했다. 당시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인도 정부가 법률과 규정에 따라 조사하고 인도에서 투자 경영 활동을 하는 중국 기업을 위해 공평·공정·비차별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기를 바란다”고 우려했다.

인도는 2년 전 중국과의 히말라야산맥 국경 분쟁 이후 베이징을 적대시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인도가 당시 분쟁의 패배를 앙갚음하고자 자국 기업들을 전방위로 압박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중국 휴대전화 업체들이 인도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자 단속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 중국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인도 휴대전화 시장에서 샤오미와 비보는 각각 24%와 15%의 점유율로 1위와 3위에 올랐다. 리얼미와 오포까지 포함한 중국 4대 업체 점유율을 합치면 63%에 달했다. 인도에서 팔리는 휴대전화 3대 가운데 2대가 중국 업체 제품인 셈이다. 인도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스마트폰 시장으로 꼽힌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