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방한] 최고의 비즈 기회…시진핑 앞에서 투자 현안 쏟아낸 총수들
수정 2014-07-05 02:59
입력 2014-07-05 00:00
달아오른 한·중 비즈니스 포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재계 총수들의 신라호텔 ‘특별 간담회’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최고의 비즈니스 무대’였다. 시 주석과 재계 대표들은 4일 오후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중 비즈니스 포럼에 앞서 약 20분간 같은 장소에서 비공개 VIP 간담회를 가졌다. 재계 총수들은 시 주석에게 물 만난 고기처럼 각종 현안을 쏟아냈고, 그룹별 중국 투자 건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도 금호타이어 난징 공장 이전과 관련해 시 주석에게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적극 요청했다. 박 회장은 간담회에 앞서 “시 주석이 관심을 갖고 긍정적으로 검토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시 주석에게 한·중 해저터널과 관련해서도 긍정적인 검토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삼성전자의 시안 반도체 공장 증설과 관련해 중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했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선양 복합몰 설립 등 중국 현지 사업에 대한 지원을 호소했다.
이번 간담회의 효과는 얼마나 될까. 간담회에 참석한 이재용 부회장, 정몽구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박삼구 회장 등은 시 주석과의 만남이 처음이 아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국가주석 취임 후 시 주석의 첫 방한인 데다 중국 주요 재계 인사 200명을 동행한 점을 짚으며 “중국 내 투자 협력에 도움이 되겠지만 역으로 중국의 한국 투자를 확대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이정구 충북대 정치경제학과 교수는 “중국 사회는 관계, 즉 관시(關係)로 시작해서 관시로 끝나는 사회”라면서 “기업 총수들이 시진핑을 만나서 간담회를 갖고 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은 대중국 투자 등 구체적인 사업 얘기 이상의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시 주석과 찍은 사진만 보여 줘도 중국 관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데 이 같은 특별 간담회 성격의 티타임은 상징적 의미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7-0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