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방한] 조용한 北…中과 조속한 대화 재개 기대하는 듯
수정 2014-07-05 00:40
입력 2014-07-05 00:00
북한은 지난달 28일 노동신문 사설을 통해 중국을 ‘대국주의자’로 맹비난했고 지난달 26일부터 탄도미사일을 포함한 각종 단거리 발사체를 일곱 차례나 발사했다.
이 때문에 북한 전문가들은 시 주석 방한 기간 동안 북한의 침묵을 북·중 화해를 기대하는 제스처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11일은 ‘조중우호협력조약’ 체결 53주년을 맞아 양국 간에 북·중 사절단이 오가는 등 화해의 움직임을 전망하고 있다. 오는 10월 1일은 ‘조중국교수립’ 65주년을 계기로 북·중 간의 고위급 회담 등 대화 재개도 기대하는 눈치다. 중국 입장에서는 이 기회를 통해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설명과 6차회담 재개를 위한 북한의 진전된 자세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북·중은 왕자루이(王家瑞)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의 방북 가능성과 함께 논의의 진전 여부에 따라 양제츠(???) 외교 담당 국무위원과의 고위급 대화도 예상된다. 양국 간 분위기가 급진전될 경우 북한의 전향적 입장 발표와 함께 빠르면 10월 북·중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수 있을 거란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전병곤 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은 “북·중 정상회담 가능성은 있지만, 북·일 협력의 성패가 시금석이 될 수 있다”면서 “협력이 깨지면 북한은 다시 중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그렇게 된다면 북한은 6자회담 재개를 비롯해 많은 것을 양보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4-07-0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