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세계 ‘아웃렛 大戰’
수정 2013-12-13 00:00
입력 2013-12-13 00:00
30분 거리 두고 자존심 대결
해외 명품, 의류 등 이월상품을 30~80% 싸게 파는 아웃렛이 해마다 50% 가까이 매출이 오르면서 불황을 겪는 유통업계의 효자 아이템으로 떠올랐다. 유통대기업은 너도나도 점포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롯데와 신세계는 구매력을 갖춘 서울 강남의 중산층을 끌어들이기 위해 경기 남부권에 잇달아 대형 프리미엄(고급형) 아웃렛을 열고 혈전에 들어갔다.
롯데·신세계 제공
이천은 차로 1시간 30분 내에 접근 가능한 인구가 2020만명에 이른다. 특히 서울 강남권에서 차로 1시간 남짓 걸린다. 여주까지는 이보다 30분 더 소요된다. 이천 아웃렛은 영동고속도로의 덕평·이천 나들목(IC)과 중부고속도로 서이천·남인천 나들목 등 4개 IC에서 10분 안에 닿을 수 있다. 이충열 이천 아웃렛 점장은 “서울 강남, 서초, 송파 지역과 경기 하남, 용인, 수원 등에서 60%의 고객이 몰릴 것”이라고 기대했다.
규모 면에서 이천 아웃렛은 여주 아웃렛을 압도한다. 이천 아웃렛은 연면적 18만 4000㎡, 매장면적 5만 3000㎡로 아시아 프리미엄 아웃렛 가운데 가장 크다. 기존 최대였던 일본 고템바 프리미엄 아웃렛의 매장보다 8400㎡ 더 크다. 입점 브랜드도 353개로 아시아에서 가장 많다는 게 롯데 측의 설명이다. 에트로, 코치, 페라가모 등 42개 해외브랜드와 98개 국내브랜드 외에 파나고니아, 휘슬러 등 31개 브랜드가 아웃렛에 최초로 입점한다.
신세계는 이천 아웃렛에 맞서 여주 아웃렛의 재단장 및 확장으로 맞불을 놓는다. 2007년 개점한 여주 아웃렛은 내년 12월 매장면적을 4만 9000㎡로 두 배 가까이 늘린다. 현재 145개의 입점 브랜드도 250개로 늘릴 계획이다. 여주 아웃렛에는 롯데 이천 아웃렛에 없는 크리스찬 디올, 끌로에 등 해외 명품이 다수 입점해 있어 다양한 프리미엄 상품을 원하는 고객층을 공략하고 있다. 신세계는 여주 아웃렛 확장과 함께 국내패션 브랜드를 강화할 예정이다.
두 아웃렛 모두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강조하고 있다. 롯데 이천 아웃렛은 1층에 330㎡(100평) 규모의 이천 향토 특산물관을 열고 3층에 260㎡(80평) 규모의 이천 도자기관을 상설 운영할 계획이다. 신세계 여주 아웃렛도 매장을 넓히면서 1700㎡(500평) 규모의 농·특산물 판매장을 조성해 여주시에 기부 체납하겠다고 밝혔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12-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