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야생 호랑이와 마주친 남성이 목숨 건진 ‘신박한 방법’ 공개 [포착]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4-01 18:30
입력 2025-04-01 18:30
이미지 확대
지난주 러시아 극동의 프리모리예(연해주)에서 한 남성이 시베리아호랑이(사진)와 마주치는 아찔한 경험을 했다. 텔레그램 영상 캡처
지난주 러시아 극동의 프리모리예(연해주)에서 한 남성이 시베리아호랑이(사진)와 마주치는 아찔한 경험을 했다. 텔레그램 영상 캡처


눈 덮인 길에서 시베리아호랑이와 마주친 남성이 신박한 방법으로 호랑이로부터 목숨을 구했다.

텔레그램에 공유된 이 영상은 지난주 러시아 극동의 프리모리예(연해주)에서 촬영된 것으로, 한 남성이 좁은 길에서 야생 시베리아호랑이와 맞닥뜨린 모습을 담고 있다.

영상 속 남성은 야생 호랑이를 보자마자 등을 보이고 도망치거나 당황하기는커녕, 도리어 호랑이를 향해 크게 고함을 쳤다. 심지어 자신을 향해 서서히 다가오는 호랑이를 향해 “가만히 서 있기나 해!”라며 욕설을 내뱉기까지 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주 러시아 극동의 프리모리예(연해주)에서 한 남성이 시베리아호랑이(사진)와 마주치는 아찔한 경험을 했다. 텔레그램 영상 캡처
지난주 러시아 극동의 프리모리예(연해주)에서 한 남성이 시베리아호랑이(사진)와 마주치는 아찔한 경험을 했다. 텔레그램 영상 캡처


놀랍게도 야생 호랑이는 남성의 욕설과 고함을 알아듣기라도 잠시 멈췄다가 서서히 몸을 돌려 숲으로 돌아갔다.

일반적으로 야생 호랑이와 마주칠 경우 큰 소리를 내거나 등을 돌려 도망치는 등의 행동은 호랑이를 자극할 수 있어 지양해야 한다. 특히 도망치면서 등을 보여주는 것은 사냥 본능이 강한 호랑이가 추격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야생 호랑이를 만난다면 침착함을 유지하면서 눈을 마주치지 말고, 소음이나 물건으로 주의를 분산시킨 뒤 천천히 뒷걸음질 치면서 호랑이와 멀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극동 프리모리예(연해주)에 서식하는 야생 시베리아호랑이 자료사진. 타스통신
러시아 극동 프리모리예(연해주)에 서식하는 야생 시베리아호랑이 자료사진. 타스통신


한편, 최근 프리모리예 지방에서는 야생 호랑이가 사람을 공격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해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모스크바타임스는 12일 “멸종위기에 처한 시베리아호랑이가 프리모리예의 한 공원 관리원을 죽였다”면서 “이번 겨울에만 극동지역에서 호랑이에 의한 치명적인 공격 사건이 3번이나 발생했다”고 전했다.

프리모리예 지방은 자연환경에서 야생 호랑이를 볼 수 있는, 지구상에 몇 남지 않은 지역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에 서식하는 시베리아호랑이는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으며, 러시아 당국은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지난 몇 년 동안 시베리아호랑이의 개체 수는 눈에 띄게 증가했지만, 동시에 사람과 마주치는 일도 빈번해졌다. 더불어 최근 이 지역에 서식하던 야생 멧돼지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걸려 죽는 일이 잦아지자, 먹잇감이 줄어 굶주린 시베리아호랑이가 종종 마을 근처까지 내려오는 알려졌다.

올렘 코쳄야코 프리모리예 주지사는 모스크바타임스에 “특히 약하거나 병든 시베리아호랑이가 사람을 공격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최근 들어 사람이 시베리아호랑이의 공격을 받는 사건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호랑이가 자주 출몰하는 구역의 방문자 출입을 금지하겠다”고 밝혔다.한편, 프리모리예 지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이 지역의 시베리아호랑이 개체 수는 560마리로, 10년 전인 2015년(310마리)보다 250마리 증가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