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리본, 컴퓨터 문자로 영원히 남는다
수정 2016-04-20 09:53
입력 2016-04-20 09:21
유니코드협회, ‘리멤버 0416’이라는 채택 문자로 등재
세월호 희생자 추모를 상징하는 노란 리본이 전 세계가 공유하는 컴퓨터 유니코드 문자표에 영원히 남게 됐다.
아이패드 화면 캡처

유니코드협회 홈페이지 캡처
유니코드는 한글과 알파벳은 물론이고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국제 산업 표준이다.
따라서 세월호 리본이 유니코드 문자로 등재됐다는 것은 세계 모든 컴퓨터에서 세월호 리본을 문자처럼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유니코드 번호 ‘1F397’인 이 문자는 원래 ‘기억의 리본(REMINDER RIBBON)’이라고만 지칭됐다.
그러나 최근 한 후원자가 유니코드협회에 기부금을 내고 이 문자를 ‘리멤버 0416’이라는 채택 문자로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니코드협회는 홈페이지를 통해 한번 채택 문자로 등록되면 그 효과가 영구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유니코드 전문가인 이민석 국민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글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등재되면 기본적으로 전 세계 모든 컴퓨터에서 쓸 수 있다”며 “‘리멤버 0416’이라는 유니코드 문자 이름이 붙은 것은 새로운 행성이 발견됐을 때 이름을 붙이는 것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월호 관련 단체인 4·16연대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배서영 사무처장은 “세월호 2주기 추모행사는 1주기 때보다 전 세계에서 더 많은 사람이 참석했고 더 많은 곳에서 열려 세월호가 모든 이의 문제라는 데 공감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며 “유니코드 등재 역시 그러한 공감에 따른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