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내가 잘못 썼다는 것을 인정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수정 2013-12-09 00:00
입력 2013-12-09 00:00
[스톡홀름 ‘노벨 주간’ 현장을 가다] 노벨 문학상 앨리스 먼로… 동영상 강연
“아주 어렸을 때 안데르센의 ‘인어공주’를 읽었습니다. 너무나도 슬픈 결말이었죠. 책을 다 읽은 후 밖으로 나가 내가 살던 벽돌집을 돌면서 동화의 결말을 오로지 나만을 위한 해피엔딩으로 바꿨습니다. 공주가 왕자와 결혼해서 영원히 행복하게 산다는 식으로요. 거기에서 모든 것이 시작됐죠.”

AFP 연합뉴스
노벨위원회는 앞서 5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문학상은 언제나 작가들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기 때문에 수상자 선정에 어려움을 겪곤 하지만, 올해 수상자인 먼로는 뚜렷한 이견이 없을 정도로 선정이 쉬웠다”고 밝혔다.
먼로는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학교에 가는 먼 길을 걸으며 언제나 습관처럼 이야기를 만들곤 했다”면서 “나이가 들고 경험이 쌓이면서 인어공주가 바다에 뛰어드는 것보다 좀더 현명하고 용기가 있었다면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소개했다.
먼로는 본인의 작품세계에 대해 초창기에는 ‘해피엔딩에 대한 집착이 넓어지는 과정’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강박적으로 작품 속의 여주인공에게 해피엔딩을 주려고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등을 읽으며 비극의 매력을 알아가게 됐다고 덧붙였다.
캐나다의 시골동네에 사는 먼로는 “난 내가 도시에 살면서 다른 사람과 높은 수준의 문화에서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에 만족한다”면서 “다만 내가 생각하기에 난 다른 사람에게 전혀 말하지 않은 얘기를 글로 쓸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의 창작 비결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는 “완벽한 구성을 가지고 글을 쓰기 시작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내가 집필을 시작할 때는 명확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다”면서 “글쓰기에 있어 가장 어려운 것은 내가 잘못 썼다는 것을 인정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먼로는 본인이 가정주부와 작가라는 두 가지 일을 비교적 잘 해냈다는 점을 뿌듯해했다.(실제로 먼로는 남편과 함께 ‘먼로스 북스’라는 서점까지 운영한다.) 그는 “글을 쓸 때는 누구보다도 몰두하지만, 그렇다고 아이들에게 점심을 차려주거나 하는 가정주부로서의 일을 잊지는 않았다”면서 “다만 난 그것이 당연했던 시대에 살았고, 지금의 후배들이 글쓰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밖으로 나가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본인의 작품에 대해서는 “언제나 만족하지 못한다”면서도 “나이가 들면서 한번 쓰기 시작한 작품을 잘못됐다고 버리지 않고 끝까지 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결혼 때문에 대학 공부를 중단하지 않고, 대학을 졸업했다면 더 훌륭한 작가가 됐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더 많은 것을 알고 배우게 됐으면, 두려움 때문에 오히려 작가가 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글 사진 스톡홀름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12-0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