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축연구소장 “핵전쟁 위험, 2차대전 이후 최고 수준”
수정 2019-05-22 09:37
입력 2019-05-22 09:37
![전략핵잠수함에서 발사되는 트라이던트 핵미사일 미 해군의 핵탄도미사일 발사 전략 핵잠수함(SSBN)에서 발사되는 미사일 [미 국방부 제공=연합뉴스] 전략핵잠수함에서 발사되는 트라이던트 핵미사일 미 해군의 핵탄도미사일 발사 전략 핵잠수함(SSBN)에서 발사되는 미사일 [미 국방부 제공=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5/22/SSI_20190522093719_O2.jpg)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레나타 드완 유엔군축연구소(UNIDIR) 소장은 2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들과 만나 핵무기가 실전에 사용될 위험이 2차 대전 이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 문제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드완 소장은 “여러 요소를 고려할 때 최근 핵전쟁 위험 및 핵무기가 (실전에) 사용될 위험이 2차 대전 이후 어느 시기보다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위험 계측의 근거로 핵보유국들의 무기 현대화 프로그램 가동, 그리고 미국과 중국의 전략무기 경쟁 등 군비 통제 환경의 변화를 꼽았다.
드완 소장은 다양한 무장세력과 사유화한 군대의 확산, 공격과 방어선을 구분하기 어렵게 하는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군비 통제가 어려워진 것 역시 핵전쟁 위협을 높이는 요인으로 제시했다.
군축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황이 20년 이상 이어지면서 핵전쟁 위협을 인식하거나 이에 불안감을 느낀 122개국이 핵무기 금지 협정에 서명했다.
드완 소장은 핵전쟁 위험은 진지하게 인식돼야 할 문제지만, 최근 언론 보도에서 사라진 영역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2017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스위스의 비정부기구(NGO)인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제안한 핵무기금지협정이 실효를 거두려면 핵을 보유한 최소 50개국의 비준이 필요하지만 실제 비준국 수는 23개국에 불과하다.
미국과 러시아 등 핵을 보유한 강대국은 협정을 반대하는 실정이다.
드완 소장은 “전 세계는 핵무기의 위험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이 핵 위험을 어떻게 판단하고 대응할지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온전히 반영되지 않는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다”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