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 내 정치를 말한다] <8> 새누리당 정운천

김민석 기자
수정 2016-04-28 23:43
입력 2016-04-28 22:44
석패율제 도입 등 정치 개혁 앞장…지역 장벽 깨는 데 승부수 걸겠다

A. 이명박. 대통령이 2010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안가로 불러 간곡하게 부탁했다. 전북에서 한 자리 숫자에 30년간 머물러 있는 지지율을 두 자리로 올려 보라고 하더라. 전주는 지연도, 학연도, 혈연도 없는 곳이다. 이왕 지역 장벽을 깨려면 전북의 한복판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해 선택했다.
Q. 첫 도전부터 당선까지 6년이나 걸렸는데 힘들지 않았나.
A. 10년 예상했는데 빨랐다. 누구든 안 된다고 했다. 24년 동안 참다래, 고구마 농사로 큰 돈을 벌었는데 재산신고를 하려다 보니 지난 6년 동안 10억원을 썼더라. 그래도 한 사람씩 만나며 그분들 마음을 바꿀 때 행복했다.
Q. 정치적 목표는.
A. 지역 장벽 깨기. 전북은 여당도, 경쟁도, 책임도 없는 ‘3무(無) 정치 지대’다. 옷만 민주주의지 이런 독재가 없다. 마찬가지로 영남은 새누리당 독재다. 지역주의로 정치가 비정상이니 경제도 비정상이다. 앞으로 더 할 일이 많다. 동서 간 지역 불균형부터 완화해야 한다. 정치제도도 개혁해야 한다. 권역별 비례대표, 석패율제 등을 도입해야 한다.
Q. 새누리당이라는 옷이 스스로에게 어울리나.
A. 야당은 더 안 맞는다. 보수라는 이념적 교집합은 있지만 계파 정치 측면에서는 안 맞는다. 야당은 (이념 측면에서) 나랑 더 안 맞는다.
Q. 언제까지 정치를 할 것인가.
A. 속전속결. 이번 당선으로 정치적 목표의 절반은 이뤘다. 지역 장벽을 깨는 순간 미련 없이 자리를 넘겨줄 것이다. 개인적 정치 욕심이 생기면 주민을 섬기지 못한다. 오래 할 생각 없다.
Q. 전남 순천에서 당선된 이정현 의원과 비교된다.
A. 소나기와 가랑비. 이 의원은 바닥까지 가는 친화력이 나보다 앞선다. 굉장히 짧은 시간에 효과를 낸다. 나는 가랑비에 옷 젖듯이 움직인다. 정치인들이 안 갈 만한 곳, 정치인들이 안 만날 것 같은 사람들을 주로 찾아다녔다. 지역에서 목소리 큰 분들이 아니라 소외된 분들, 형편이 어려운 분들이 팬이 돼 주셨다.
Q. 정치적 롤모델은.
A. 인촌 김성수. 제2공화국 부통령을 지낸 인촌과 같은 방에서 태어났다. 인촌이 일본 유학을 떠날 때 아버지에게 집을 맡긴 게 인연이 됐다. 그 뒤로 인촌의 모든 걸 따랐다. 대학은 고대를 갔고, 인촌의 ‘첨단과 낙후의 최종 목적지는 같다’는 말에 따라 당시 가장 낙후됐던 전남 해남에서 참다래 농사를 일궜다. 인촌의 ‘공선사후’ 정신도 늘 되새긴다. 농림부 장관 때는 ‘촛불 집회’가 열리자 월급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해 급여 모두를 반납했다.
Q. 20대 국회 상임위원회 선택은.
A. 교육문화체육관광위. 나를 뽑아 준 주민들이 원하는 상임위다. 전주가 내년 ‘개도 1000년의 해’다. 천년 고도의 발전 특별법을 만들어 달라고 한다. 장관까지 했으니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가 개인적으로는 낫지만 주민의 뜻부터 섬겨야 한다.
글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사진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프로필 ▲1954년 전북 고창 출생 ▲고려대 농업경제학과 졸업 ▲한국참다래유통사업단 회장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2016-04-2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