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을 위해 승무를 위해 역시나 춤꾼, 이애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2-25 00:00
입력 2013-12-25 00:00

새달 6~7일 완판 승무 ‘이애주춤 천명’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예능보유자인 ‘춤꾼’ 이애주(66·서울대 명예교수)의 60년 춤 인생을 압축하는 춤판이 벌어진다. 그가 50분간 쉼 없이 호흡하는 완판 승무 ‘이애주춤 천명(天命)’이 내년 1월 6~7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막이 오른다.

이미지 확대
이애주는 ‘시대의 한을 푸는 춤꾼’으로 유명하다. 그는 승무를 가리켜 “출발에서 마무리까지 인간의 삶과 우리 민족의 역사가 그대로 응축돼 있다”고 했다.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 당시 이한열 열사의 죽음을 달래는 바람맞이 춤을 추면서 ‘민중 춤꾼’으로 불려 왔다. 1996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예능보유자로 지정된 이후에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30여개 국가에 우리 춤의 아름다움을 알렸다. 1999년부터 2012년까지는 백두산, 백령도, 독도, 마라도 등 한반도를 상징하는 장소를 찾아 맨발로 춤을 추는 ‘우리 땅 터벌림’(태평무 터벌림춤에서 따온 말로 사방팔방으로 터를 벌리며 뻗어 나간다는 뜻)을 펼쳤다.

한성준·한명숙 명인으로부터 이어진 전통 춤을 전수받은 그는 소우주를 담고 있는 승무와 소박하면서도 절제의 미가 살아 있는 살풀이, 평화로운 세상을 염원하는 태평무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6일에는 염불, 굿거리, 허튼타령, 잦은타령, 법고, 당악 등 10과장으로 이뤄진 완판 승무의 춤사위를 펼친다.

이번 춤판은 고은·신경림 시인, 유홍준 명지대 교수, 소리꾼 임진택 등 이애주의 춤을 사랑하는 문화계 인사들의 후원으로 이뤄진 자리다. 3만~7만원. (02)564-0269.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12-2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