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듯 익숙하다, 그림이 된 도자기
수정 2013-12-25 00:08
입력 2013-12-25 00:00
전통 자기, 현대적 화폭으로 재탄생… 괴짜 작가 이승희 개인전
“해외에 반출된 우리 문화재를 작품에 그려 넣고 있어요. 지금까지는 일본 오사카 민예박물관에 소장된 문화재의 모습을 담았고, 내년부터는 미국 보스턴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을 담을 계획입니다.”

그가 온종일 매달리는 작업은 흙물을 쌓는 일을 반복하는 것이다. 가로, 세로 1~2m의 편평한 흙판 위에 흙물을 바른 뒤 말리고 다시 바르기를 100회 이상 반복해야 고작 1㎜ 높이로 부조와 같은 도자기 모양이 경계를 이룬다. 3개월 이상 작업해야 흙판에 5~8㎜의 도자기 입체가 모습을 갖춘다. 동굴의 종유석처럼 솟아난 흙판의 도자기 형상은 실제 도자기처럼 손으로 만지면 촉감을 느낄 수 있다. 회화와 조각이 담긴 종합 예술품인 셈이다.
부조와 같은 3차원 회화를 만드는 데 공을 들이는 이유가 궁금했다. “이런저런 방법을 다 써 봤는데 거대한 흙판이 가마에 들어가는 순간 모두 깨져 버립디다. 도를 닦는 것처럼 흙물을 쌓아서 말리면 결코 깨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나중에야 깨닫게 됐어요.”
작가는 그렇게 옛것을 가장 현대적으로 되살려 냈다. 역사와 철학까지 모든 개념들이 녹아들면서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졌다. 이를 108배에 비유했다. “느낌이 매번 다르지만 마음을 그대로 작업에 투영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는 것이다.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해 흙, 물, 불의 예술을 펼치는 작가는 내년 1월 8일까지 서울 강남구 청담동 박여숙화랑에서 ‘예상을 뛰어넘은 예상’이란 제목으로 개인전을 이어 간다. 그는 “치밀한 계산이 아닌 오로지 사람의 시각과 촉각으로 형성되고 느껴지는 예상하지 못하는 예상”이라고 이를 해석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2-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