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융복합 기술로 농촌경제 살린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2-03 00:18
입력 2013-12-03 00:00

SKT ‘스마트 농업’ 지원 로컬푸드시스템 등 제공

‘그저께 출하한 배추는 지금 얼마나 팔렸을까.’

이미지 확대
2일 SK텔레콤과 전북 완주군이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로컬푸드 사업지원 시스템’을 도입한 가운데 농민들이 스마트폰으로 시스템 접속 화면을 내보이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2일 SK텔레콤과 전북 완주군이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로컬푸드 사업지원 시스템’을 도입한 가운데 농민들이 스마트폰으로 시스템 접속 화면을 내보이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밭에서 배추를 한창 수확하다 문득 앞서 내놓은 배추의 판매량이 궁금해진 농민 임병목(전북 완주군)씨는 주머니에서 스마트폰을 꺼냈다. 임씨는 관리 시스템에 접속해 그저께 직거래 장터에 내놓은 배추의 재고량이 거의 바닥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임씨의 손이 바빠졌다. 이 정도 판매량을 따라가려면 평소보다 출하량을 더 늘려야 한다는 계산이 섰기 때문이다. 임씨는 “이런 시스템이 생기면서 농사 계획도 세우고 삶의 질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임씨는 SK텔레콤(SKT)의 ‘스마트 로컬푸드 사업지원 시스템’을 농사에 활용하고 있다.

SKT는 2일 예비 사회적기업인 (재)행복ICT를 통해 전북 완주군과 손잡고 ICT 융복합 기술로 농촌 경제 활성화에 나섰다고 밝혔다. SKT는 현재 완주군이 운영하고 있는 ‘로컬푸드 시스템’에 ICT 기술 기반을 제공한다. 로컬푸드 시스템이란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것으로, 이것이 활성화되면 유통 단계가 줄어 소비자들이 신선한 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된다.

SKT가 마련한 지원 시스템은 농민 전용 앱, 관리자용 통합 관리 시스템, 소비자용 온라인 몰 등으로 구성돼 있다. 농민들이 스마트폰으로 판매할 농작물과 수량 등을 등록하면 관리자는 이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 전체의 농작물 생산 계획을 파악하고 각 농가에 다시 출하량을 배분한다. 이로써 재고량을 합리적으로 조절해 농가 소득은 물론 농산물 품질도 최상의 수준으로 관리한다. 각 농가는 시스템을 통해 판매 총액은 물론 날씨, 농사기술, 일거리 등도 조회할 수 있다.

이형희 SKT CR부문장은 “이 시스템으로 스마트 농업 환경을 마련해 로컬푸드 사업 확산과 농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12-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