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세상에 알린 리원량, ‘통곡의 벽’에서 뜨거운 추모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수정 2021-02-08 03:04
입력 2021-02-07 21:00

中당국 통제 속 조용한 1주기

공식행사 금지·관련 단어 SNS서 삭제
마지막 글 남긴 웨이보에 댓글 100만개
날마다 수천개씩 글 올리고 대화 나눠
“1년 지났지만 병원 간부들은 그대로”
이미지 확대
코로나19를 처음으로 알린 리원량의 1주기를 하루 앞둔 6일 당국의 통제로 추모 행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후베이성 우한중심병원을 찾은 한 남성이 경비를 서는 경찰 옆에 추모 꽃다발을 내려놓고 있다. 우한 AP 연합뉴스
코로나19를 처음으로 알린 리원량의 1주기를 하루 앞둔 6일 당국의 통제로 추모 행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후베이성 우한중심병원을 찾은 한 남성이 경비를 서는 경찰 옆에 추모 꽃다발을 내려놓고 있다.
우한 AP 연합뉴스
“친구들아. 최근 우리 병원에서 7명이나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확진 판정을 받았어. 10여년 전 없어졌던 병이 다시 나타난 것이 무슨 일인지 잘 모르겠네. 암튼 다들 조심해라.”

2019년 12월 30일 중국 우한중심병원의 젊은 안과의사가 의대 동창들의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대화방에 경고의 글을 올렸다. 이를 본 의사들이 화들짝 놀라 이를 지인에게 알리면서 후베이성에서 괴질이 퍼지고 있다는 소식이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중국에서 퍼진 코로나19의 존재를 세상에 처음 알린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의사 리원량(1986~2020)이 지난해 2월 7일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됐다. 중국 정부는 민심 동요를 우려해 ‘호루라기를 분 사람’으로 불리는 그에 대한 공식 행사를 금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누리꾼들은 그가 생전에 쓰던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모여 그를 조용하지만 뜨겁게 기리고 있다.

7일 홍콩 명보에 따르면 최근 베이징 설치 미술가 왕펑은 리원량 1주기 추모 전시회를 준비했다가 당국으로부터 “국가에 먹칠을 하지 말라”고 경고를 받았다. 그의 작업실도 경찰에 의해 강제 철거됐다. 대만 중앙통신도 “요즘 중국에서 ‘휘슬블로어’(내부고발자) 등 민감한 단어들이 언론과 소셜미디어에서 빈번히 삭제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이 리원량 애도를 꺼리는 이유는 감염병 확산 초기 은폐·축소에 급급했던 중국 공산당의 과오를 떠올리게 해서다. 지난해 1월 3일 그는 공안에 소환돼 “유언비어를 유포했다”는 이유로 훈계서에 서명하고 처벌을 받았다. 이 때문에 리원량 사망 직후 베이징 지식인들은 중국 최고지도부를 강하게 비난하며 언론의 자유를 허용해 달라고 요구했다.



현재 당국은 리원량 추모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있지만 많은 이들이 그의 웨이보 계정에서 댓글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 그가 병상에 있던 지난해 2월 1일 마지막으로 남긴 웨이보 글에는 지금까지 100만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지금도 하루 수천개씩 새 글이 올라온다. 사람들은 이를 ‘통곡의 벽’이라고 부른다. 한 누리꾼은 “벌써 1년이 지났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던 당신 병원의 간부들은 여전히 그대로다. 이 세계는 어지러움으로 가득 차 있어 아무것도 투명하게 보이지 않는다”라고 토로했다. 다른 누리꾼은 “리원량을 가장 잘 기리는 길은 무슨 발언을 했더라도 그 사람이 처벌받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02-0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