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1400만명 “삶, 고통스러울 정도로 나쁘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민혜 기자
수정 2022-08-23 14:58
입력 2022-08-23 09:37
이미지 확대
삶이 고통스럽다고 느끼는 미국인의 ‘고통지수’가 사상 최고치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갤럽이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일까지 미 전역의 미국인 3649명을 상대로 ‘생활 평가 지수’를 조사해 22일(현지시간)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현재 및 미래의 삶이 고통스러울 정도로 나쁘다고 응답한 미국인은 5.6%로 드러났다.

이는 갤럽이 관련 지수 평가를 시작한 지난 2008년 이후 가장 높다.

지금까지 최고치는 지난 4월의 4.8%였다.

생활 평가 지수는 척도를 0∼10까지 두고 자신의 삶이 ‘번창하고 있다’, ‘고군분투 중이다’, ‘고통스럽다’ 세 가지로 나눈다.

현재와 5년 내 미래의 삶 모두의 척도를 4 이하로 답한 사람은 고통으로, 현재 삶이 7 이상이고 미래 삶이 8 이상이라고 응답한 사람을 번창하고 있는 것으로 분류한다.

번창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된 미국인은 51.2%로, 18개월만의 최저치이자 지난해 6월 59.2%로 최고치에 이른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보였다.

번창하고 있다는 응답은 2008년 11월 금융위기 때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2020년 4월 각각 46.4%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당 지지층별로 볼 때, 자신의 삶이 고통스럽다는 미국인은 민주당과 공화당 지지층 모두 5.4%로 나왔다.

번창하고 있다는 답변도 민주당(53.0%)과 공화당(52.2%) 지지층 모두 비슷했고, 무당층은 47.7%였다.

생활 평가 외에 ‘스트레스와 걱정 지수’에서 자신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는 미국인은 48%로, 1년 전의 43%에서 소폭 상승했다.

다만 이는 대유행 시작 시기인 지난 2020년 3월의 60%보다는 낮다.

매일 걱정하고 있다는 답변은 42%였는데, 이는 1년 전의 38%보다 올랐지만 2020년 3월의 59%보다는 낮은 수치다.

갤럽은 “이번 고통 지수는 처음으로 5%를 넘어섰으며, 이는 미국 성인의 약 1400만명에 달한다”며 “경제 상황이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달 52만8000개의 일자리 증가에도 여전히 높은 물가 탓에 갤럽의 경제 신뢰지수는 2009년 이후 최저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강민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