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원, 코로나에 ‘두배’ 급증…월급 381만원, 43%는 사고 경험

옥성구 기자
수정 2022-12-27 17:25
입력 2022-12-27 11:26
배달업 최초 실태조사 결과 발표
75%는 ‘무리한 운전’ 등에 사고
월 근무 25.3일…순소득 286만원
“배달 수수료 개선” 43%가 응답
소비자 “높은 배달료 개선 필요”

국토교통부는 2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배달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 이후 진행된 최초의 실태조사다.
배달원 수는 올해 상반기 23만7188명으로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이전인 2019년 상반기(11만9626명)보다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조사된 배달원은 오토바이를 이용해 음식 배달 등을 하는 종사자다.
업체는 소비자와 음식점 간 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이 37곳, 음식점과 지역 배달대행업체 간 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이 51곳 운영 중이다. 각 지역의 배달대행업체는 전국에 7794개소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사고 원인은 ‘촉박한 배달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42.8%), ‘상대 운전자 미숙 또는 부주의’(41.4%), ‘배달을 많이 하기 위한 무리한 운전’(32.2%) 순이었다.
배달 종사자들은 최초 업무 시작 시 79%가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지만, 72.2%가 온라인교육을 통해 이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배달 종사자는 월평균 약 25.3일을 일하고 있으며, 주중 9.5시간, 주말 9.9시간을 근무한다고 답했다. 여기에는 2시간 휴식 시간이 포함돼 있다.
급여는 월평균 381만원을 벌고 있지만, 보험료와 렌탈료 등으로 다달이 95만원을 지출해 순소득은 286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는 지출을 감안하더라도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다른 운수업에 비해 소득 여건이 낮은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하루 평균 배달 건수는 주중 37.4건, 주말 42.3건이다. 평균 운행거리는 주중 103㎞, 주말 117㎞인 것으로 집계됐다.
배달 종사자들은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배달 수수료 체계 개선’(43.8%)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노동자 지위 인정’(13.7%), ‘갑질 완화’(12.9%), ‘위험 보상’(12.5%)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의 42%는 월 3~5회 배달앱으로 주문했다. 월 1~2회(38%), 월 6~10회(15%) 순으로 이용빈도가 높았고, 주로 오후 5~8시에 배달앱을 이용했다. 소비자의 66%는 단건 배송을 선호했으며, 절반은 주문 20~30분 내 도착하는 것을 가장 희망했다.
소비자들은 배달앱의 신속·편의성, 선택의 다양성 등에 대해 대체로 만족(54%)하고 있었으나, 높은 배달료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세종 옥성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