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강풍에 이미 예견 외환당국 ‘막음’ 없었다
수정 2014-06-10 01:00
입력 2014-06-10 00:00
1020원 무너진 원·달러 환율
9일 달러당 1020원 선이 무너진 것은 지난 5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의 경기 부양책 발표 이후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다. 장중 한때 1020원 선이 붕괴됐던 지난달 30일과 달리 외환 당국이 무리하게 종가(終價)를 막아서지 않은 것은 그래서다. 원화가치는 달러화뿐 아니라 엔화, 위안화에 대해서도 ‘트리플 강세’를 보이고 있다. 당국의 고민이 깊어지는 대목이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그렇다고 세 자릿수 환율 시대가 쉽게 열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된 관측에 변화가 감지되는 않는다. 손은정 우리선물 연구원은 “연내 달러당 1000원 선이 깨질 가능성은 낮다”며 “외환 당국 개입에 대한 경계감이 여전하고 하반기에는 미국 경기 호전 등에 따른 달러화 강세도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장기적으로는 1000원 선이 깨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진우 농협선물 리서치센터장은 “시간의 문제일 뿐, 결국은 1000원 선을 향해 꾸준히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26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경상 흑자 등 국내에 달러가 넘쳐나 당국도 막아서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원·엔 재정환율도 이날 오후 3시 현재 100엔당 991.61원을 나타냈다. 전 거래일보다 3.51원 떨어진 수준이다. 원·위안 재정환율은 같은 시간 1위안당 163.02원을 기록했다. 2011년 7월 이후 2년 10개월여 만에 최저 수준이다.
위안화 대비 원화 가치는 올 2월 이후 9.35%나 올랐다. 원화가 트리플 강세를 보이면서 중소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약화와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6-1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