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관광 재개·상봉 정례화 탄력 받을까
수정 2014-02-22 01:14
입력 2014-02-22 00:00
北 “최근 중국인 관광지로 활용”
21일 금강산관광특구의 중심지인 온정각 서관의 무관세 상점과 식당들은 여전히 문이 잠겨 있었다. 북측 관계자들이 건물 위에 올라가 눈을 치우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이곳 시설들은 남북이 합의만 하면 바로 재개장할 수 있음을 보여 주려는 듯이 단정하게 관리되고 있었다. “유지가 잘 되어 있는 것 같다”는 우리 측 취재진의 말에 상점 안내원은 “그렇다. 재개되면 바로 활용할 수 있다”고 답해 적극적인 관광 재개 의지를 표시했다.
이산가족이 머무는 금강산 시설은 2010년 4월 이후 북측에 의해 자산이 동결·몰수된 상태다. 이들 시설은 중국인 관광에 최근까지 활용됐다. 이 안내원은 관광이 활발한지를 묻자 “중국과 구라파(유럽), 이런 데서 관광을 오고 있다”고 답했다. 금강산 관광사업자인 현대아산 직원들은 이번 상봉 행사가 끝날 때까지 이산가족면회소와 금강산호텔, 외금강호텔 등의 시설을 점검하며 자연스럽게 다른 시설들의 유지·보수 상태도 점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봉 정례화와 관련해서는 이산상봉 행사를 주관하는 대한적십자사가 북측과 이번 상봉 기간 공감대를 형성할지가 주목된다. 과거 남북 적십자사는 상봉 행사장에서 자연스럽게 고위급 간 의견을 주고받는 ‘간이 회담’을 열기도 했다. 유중근 한적 총재는 지난 20일 북측이 주최한 만찬에서 “시간이 없다. (남북의 가족들이 계속해서 만날 수 있는) 근본적 해결방안을 조속히 만들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금강산공동취재단·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2-2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