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美 드론 폭탄에 수십명 ‘증발’…트럼프, SNS에 직접 ‘자랑’ [포착]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4-05 17:04
입력 2025-04-05 12:53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SNS에 직접 공개한 영상. 중동 작전을 담당한 미 중부사령부가 이란 지원을 받는 예멘 후티 반군들을 공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트럼프 엑스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SNS에 직접 공개한 영상. 중동 작전을 담당한 미 중부사령부가 이란 지원을 받는 예멘 후티 반군들을 공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트럼프 엑스 캡처


이란이 지원하는 예멘의 후티 반군이 미군의 드론 공습을 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군의 공습 장면을 직접 공격하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SNS에 공개한 영상은 최근 미군의 중동 작전을 총괄하는 중부사령부(CENTCOM)가 촬영한 것으로, 공격 지시를 받기 위해 둥글게 모인 후티 반군 대원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SNS에 직접 공개한 영상. 중동 작전을 담당한 미 중부사령부가 이란 지원을 받는 예멘 후티 반군들을 공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트럼프 트루스소셜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SNS에 직접 공개한 영상. 중동 작전을 담당한 미 중부사령부가 이란 지원을 받는 예멘 후티 반군들을 공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트럼프 트루스소셜 캡처


최소 60여 명으로 구성된 영상 속 후티 반군 대원들은 지휘관의 지시를 받기 위해 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위로 미군이 날린 드론이 접근했고, 이후 거대한 폭발로 발생했다. 폭발 이후 생긴 연기가 걷히자 수십 명의 후티 대원들이 있던 자리에는 군용 차량 두 어 대만 남아있었다.

전문가들은 드론의 폭격을 받은 후티 대원 수십 명이 현장에서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입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부사령부의 이러한 작전을 담은 영상을 공개하며 “후티 반군은 공격에 대한 지시를 받기 위해 모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 이들은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그들은 다시는 우리 배를 침몰시키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브라이언 휴즈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공식 성명에서 “(미국의) 후티 반군에 대한 작전이 계속 성공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군대나 안보에 대한 위협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SNS에 직접 공개한 영상. 중동 작전을 담당한 미 중부사령부가 이란 지원을 받는 예멘 후티 반군들을 공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트럼프 트루스소셜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SNS에 직접 공개한 영상. 중동 작전을 담당한 미 중부사령부가 이란 지원을 받는 예멘 후티 반군들을 공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트럼프 트루스소셜 캡처


한편, 미국은 1년 넘게 후티 반군을 노린 공습 작전을 진행했지만, 후티가 홍해와 수에즈 운하 등에서 서방 선박에 대한 위협을 이어가면서 전 세계 해상 운송 위기가 촉발됐다.

심지어 2023년 12월 조 바이든 당시 미국 행정부가 미국과 영국, 캐나다, 프랑스 등 서방 군대의 연합군을 동원해 해상에서 후티 반군의 공격을 차단하는 ‘번영의 수호자 작전’을 개시했으나, 이후에도 후티 공격은 계속됐다.

서방 선박이 홍해와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면서 후티 반군의 공격 위협을 받는 등 발이 묶이는 동안, 중국과 러시아의 해운회사들은 비교적 ‘안전하게’ 해상 운송로를 이용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후티 반군의 배후에 있는 이란과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더 이상 후티 반군이 미국 국기를 단 상선에 대한 공격을 봐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지난달 중순 폭스뉴스에 “후티가 미국 배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겠다고 밝히는 순간, 우리 역시 그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할 것”이라면서 “이런 상황은 언젠가 끝이 나겠지만, 정말로 끝이 날 때까지 쉬지 않을 것”이라며 갈등을 예고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