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원 부담” 확진자 10만명 무증상 접촉자들 검사 회피

김유민 기자
수정 2022-07-26 09:22
입력 2022-07-26 08:48
무증상자들, 진료비 부담에 검사 회피
확진자 중 무증상자 30~40%에 달해


2022.7.25/뉴스1
26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코로나19 유증상자나 60세 이상 고령층,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자, 자가검사키트 등으로 양성이 확인된 자 등은 병원이나 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경우 검사비로 5000원을 부담하면 된다. 반면 무증상자는 진료비를 전액 부담해야 한다. 검사비는 적게는 3만 원에서 많게는 5만원까지 나온다.
최근 무증상 감염은 전체 감염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이들 중 무증상자의 비율은 30~40%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무증상 감염자의 코로나19 검사 회피가 늘어나면 동거인 등 고위험군 접촉자를 조기 발견할 수 없어 격리와 진료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재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무증상자들에게도 검사 비용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 19일부터 1주일간 위중증 환자수는 91명→96명→107명→130명→140명→146명→144명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사망자 수도 2주 전(12~18일)의 92명보다 이번 1주일간 발표된 사망자 수가 137명으로 48.9%나 늘었다.
신규 확진자 규모가 늘어나면 1∼2주 시차를 두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올 초 오미크론 유행 때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지난 2월 18일 10만을 뛰어넘고 3월 17일(62만1147명) 정점을 찍었다가 4월 21일(9만846명) 10만명대를 벗어날 때까지 사망자는 많게는 하루에 469명까지 발생했다.
또한 국내에서는 전파력과 면역회피력이 강한 변이바이러스 BA.5가 우세종이 되고 있고, 이런 특성이 더 강한 BA.2.75(일명 켄타우로스)의 확진자도 국내에서 총 4명이 발견되면서 빠른 확산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김유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