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 넘어 능력사회로] “고용주도 지원자 실력 객관적 평가 가능해져”
수정 2014-10-21 00:34
입력 2014-10-21 00:00
맥키완 호주 산업부 기술 이동 국장
호주의 직업교육훈련(VET) 체계를 총괄하는 연방정부 부처는 산업부다. 산업부 내에서도 멜리사 맥키완 기술 이동·아시아 협력국장이 직업교육훈련의 총책임자 역할을 맡고 있다. 그는 올해로 9년째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이어 맥키완 국장은 “20년 전만 해도 호주에는 IT 분야 중 하나인 컴퓨터 애니메이션 영역에 종사할 기술자가 한 명도 없었다”고 예를 들며 “훈련 패키지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산업 수요와 기술 발전 수준에 따라 조금씩 바꾸고 있다. 자동차 수리 분야도 20년 전에는 단순히 자동차 부품 교체만 할 줄 알면 문제가 없었지만 최근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시킨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컴퓨터 활용 능력도 필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훈련 패키지 개발로 나타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로 그는 ‘성과의 지속성’을 꼽았다. 맥키완 국장은 “훈련 패키지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각 직업교육훈련기관들이 각자 나름대로 수업을 운영해 고용주들 입장에서는 지원자들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지표가 없었다. 그렇다 보니 다른 지역에 있는 교육기관에서 배워 온 기술을 고용주들이 인정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제는 국가에서 인정하고 등록한 훈련 패키지라는 표준화된 지표가 있다 보니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현재 호주 정부에 등록된 훈련 패키지 숫자는 총 73개. 숫자만 놓고 보면 적은 것 같지만 이는 기존에 있던 훈련 패키지 218개 중 일부를 최근 산업 기술 발전 경향을 반영해 통합한 결과다.
맥키완 국장은 “산업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훈련 패키지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노력과 함께 앞으로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의 산학 연계 과정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면서 “일을 할 수 있는 기술을 배우고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사회를 계속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캔버라(호주)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10-2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