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군·경 장비로는 잠수 5분뿐 민간은 최대 30분까지 가능
수정 2014-04-21 09:23
입력 2014-04-21 00:00
민간업체가 구조작업 주도하는 이유
세월호 수색·구조 과정에서 해경(해양경찰)·해군에 비해 민간 잠수업체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둔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17일 해경 관계자가 “해군·경이 가진 장비로는 잠수를 5분밖에 할 수 없지만, 민간업체는 30분까지 가능해 민간 잠수부들을 소집하고 있다”고 말한 뒤 실종자 가족들의 불신은 더욱 커졌다.
해군 제공
해경은 “사고지점이 조류가 세고 시정이 좋지 않다는 점 등을 고려해 입수 가능 시간을 짧게 잡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반면 황대식 한국해양구조협회 구조본부장은 “다이버 실력과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스쿠버다이빙 방식은 10~30분, 표면공급식은 2시간까지 잠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구조본부장은 “해군도 표면공급식 장비가 있지만 무겁고 복잡해 선체 수색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무게도 7~8배가량 차이가 난다. 해군의 잠수용 장비인 풀 페이스 마스크는 10㎏에 달하지만, 민간에서 사용하는 장비는 1.5㎏에 불과하다.
또 민간업체 잠수부들은 대개 특수부대를 전역하고 10~30년 경력을 쌓은 베테랑들이다. 황 구조본부장은 “해군·해경은 깊은 곳에서 작전 수행은 잘하지만, 조류가 세거나 시야가 흐린 상황에서는 매일같이 해저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민간 잠수부들의 경험이 더 발휘된다”고 말했다.
진도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4-2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