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창리 이동식 건물 지붕 사라져”… 北, ICBM 추가 도발 가능성 고조

서유미 기자
수정 2022-11-07 00:10
입력 2022-11-06 20:54
VOA 보도… 일부 외벽도 해체
3월 김정은 ‘현대화 작업’ 지시

미국의소리(VOA)방송 캡처
미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가 공개한 민간 위성사진업체 ‘플래닛 랩스’의 4일자 위성 사진에 따르면 조립 건물이 있던 자리가 텅 비어 있고 이틀 전까지 포착되던 하얀색 지붕이 사라졌다. 다만 건물 주변으로 어렴풋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어 일부 외벽은 상당 부분 해체됐지만 형태는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달 11일 촬영된 위성 사진을 보면 이 조립 건물은 원래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40m 이동했고, 지난달 24일엔 건물 외벽이 해체되는 장면이 확인된 바 있다. 해체 중인 조립 건물은 지하 터널로 운송된 로켓 추진체를 끌어올려 주 처리 건물로 옮기고 로켓을 수직으로 세워 발사대로 옮기는 역할을 해 왔다.
이번 작업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월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을 방문해 ‘현대적 개건, 확장’을 지시한 결과로 풀이된다. 위성 사진 분석가인 데이비드 슈멀러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포착된 변화는 아마도 이 일대 현대화 작업의 일환일 것”이라며 “이 건물의 진행 상황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추가로 ICBM 발사 시험에 나설 경우 정찰위성 발사를 가장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은 화성15형, 화성14형, 화성12형 등의 ICBM 미사일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현장 실험들이 이뤄진 곳이다.
서유미 기자
2022-11-0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