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수위’ 北김정은 직책은…‘노동당 위원장’ 포함 총 9개
수정 2016-05-10 10:22
입력 2016-05-10 09:24
마지막 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 등 5개 감투 추가
36년 만에 개최된 북한 노동당 제7차 대회를 통해 ‘최고 수위’에 오른 김정은이 쓰고 있는 감투는 모두 9개에 달한다.
/
13
-
박수 치는 김정은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폐회사를 하던 중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
폐회사 하는 김정은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폐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당대회 폐회사하는 北김정은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 9일 폐회한 북한 노동당 제7차 대회에서 폐회사를 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0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
당중앙위 위원 선거에 찬성표 던지는 김정은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당중앙위원 선거에서 찬성표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규약개정에 찬성하는 김정은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규약개정에 대한 결정서에 찬성표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박수받는 김정은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폐회사를 마친 뒤 박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
박수 받는 김정은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폐회사를 마친 뒤박수를 받으며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
전원찬성표 던지는 북 노동당 대회 참석자들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대회 참석자들이 당규약개정안에 전원찬성표를 던지고 있다.
연합뉴스 -
북한 노동당 대회 폐막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연합뉴스 -
북한 노동당 대회 폐막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연합뉴스 -
서류 살피는 김정은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폐회사 도중 서류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
규약개정 초안 발표하는 조연준 제1부부장북한의 제7차 노동당 대회가 9일 폐막했다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조선노동당 규약개정에 대한 결정서 초안을 발표하는 조연준 노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연합뉴스 -
北, 당대회 결정서 채택…김정은 당 위원장 추대북한 노동당 제7차 대회에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당 위원장으로 추대하는 결정서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를 우리 당의 최고 수위에 높이 추대할 데 대하여’가 채택됐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0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발행된 신문 1면의 모습.
연합뉴스
이에 황병서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전폭적으로 지지 찬동한다”고 발언했고, 참석자들이 전원 기립박수를 보내며 만장일치로 노동당 위원장에 추대했다.
당 위원장직이 신설되면서 2012년 4월 제4차 당대표자회에서 만들어졌던 기존의 당 ‘제1비서’ 직은 5년 만에 폐지된 것으로 추정된다.
노동당 제7차 대회는 이어 지도기관 선거에서 김 제1위원장을 당 중앙위원회 위원,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으로 다시 추대했다.
이로써 김정은은 하루 만에 무려 5개의 감투를 쓰게 됐다.
김정은이 노동당 위원장에 오른 것은 ‘선군’을 강조한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달리, 노동당 기능을 정상화하고 위상을 강화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김정은은 이밖에도 인민군 최고사령관과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인민군 원수,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 등 4개의 공식직함을 더 보유하고 있다.
김정은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직후인 2011년 12월 30일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통해 ‘최고사령관’에 임명됐고, 이듬해 4월 개최된 제4차 당대표자회에서 ‘당 제1비서’,‘당 중앙군사위원장’,‘당 정치국 상무위원’에 올랐으며 이틀 뒤 최고인민회의 제12기 5차회의에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추대됐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출범 5년째에 접어든 김정은이 달라진 위상에 걸맞게 당 위원장으로 추대됐다”면서 “명실 공히 당·정·군을 모두 장악해 김정은 시대의 개막을 알린 셈”이라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