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7월 전대… 친박 교통정리·비박 후보 옹립 ‘발등의 불’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수정 2016-05-10 09:34
입력 2016-05-09 22:46

당선자 총회 비대위 역할 두고 ‘기싸움’

친박 “쇄신까지 시간 촉박… 관리형으로”
비박 단일지도체제 혁신형 주장 힘 잃어
지도부 체제 전환 시 양측 충돌 가능성

이미지 확대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20대 국회의원 당선자 총회에서 동료 당선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문진국·송희경·김규환 당선자, 정 원내대표.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20대 국회의원 당선자 총회에서 동료 당선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문진국·송희경·김규환 당선자, 정 원내대표.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새누리당이 9일 당선자 총회를 열고 ‘7월 전당대회 개최’를 확정하면서 당권을 겨냥한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계 간 셈법이 더욱 복잡해졌다. 계파 간 힘겨루기의 대상도 기존 비상대책위원회의 형식에서 역할로 옮아가는 모양새다.

이날 총회에서 친박계는 전당대회까지 쇄신 작업을 마무리 짓기엔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관리형 비대위’를 주장했다. 비대위 역할을 최소화하는 대신 새 지도부가 별도의 쇄신특별위원회를 구성하자는 주장이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총회 직후 “전지전능한 인물이 과연 있을지, 전권을 부여해 공천권을 행사하는 위치도 아니기 때문에 더더욱 현실적인 부분이 있다”고 말해 사실상 ‘관리형 비대위’ 쪽에 무게중심을 뒀다.

반면 비박계는 김종인 비대위 대표를 영입한 더불어민주당처럼 외부 영입 인사를 통한 ‘혁신형 비대위’를 꾸려 당을 쇄신하길 바랐다. 하지만 이날 총회를 계기로 ‘지도 체제’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양상이다. 집단 지도 체제인 현행 ‘최고위원회’를 단일 지도 체제로 바꾸자는 것이다.

이런 양측의 엇갈린 입장에는 현실 인식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주영·원유철·최경환·홍문종·정우택·이정현 의원 등 당권 주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친박계는 차기 지도부에서도 수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 체제를, 정병국 의원 외 이렇다 할 당권 주자가 없는 비박계는 당권을 쥐더라도 현 지도 체제하에서는 주도권을 쥐기 어렵다는 점에서 체제 변화를 각각 꾀한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실제 4시간여에 걸친 총회가 끝난 뒤 의원들은 결과에 대해 ‘아전인수’식 해석을 내놓았다. 비대위 문제와 관련해 친박계 의원들은 “특별위원회를 구성할지 등 각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고 입을 모은 반면 비박계 의원들은 “혁신형 비대위를 요구한 의원이 압도적이었다”며 각각 진영 논리를 폈다. 이에 따라 향후 친박계와 비박계는 비대위 구성 이후 지도부 체제 전환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 문제를 놓고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이어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박계는 후보 간 ‘교통정리’가, 비박계는 ‘새 후보 옹립’이 각각 ‘발등의 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날 총회의 의견 수렴 방식을 놓고도 계파 간 신경전이 벌어졌다. 정 원내대표를 지지해 당선시킨 친박계는 정 원내대표의 주장에 힘을 실었지만, 비박계 의원들은 “새 원내대표가 아무런 비전도 철학도 제시하지 못했다”며 정 원내대표를 비판했다. 비박계 한 중진 의원은 “원내대표가 안을 내놓고 그 안에 대해 찬반 토론을 하는 게 나았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6-05-1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