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간 김종인 “호남 민심 안 돌아올 것에 두려움 느꼈다”

안석 기자
수정 2016-04-26 02:15
입력 2016-04-25 23:12
김-문 신경전에 싸늘한 분위기 속 더민주 지도부 총선 후 첫 광주행
‘전대 연기론’ 조금씩 무게 실릴 듯
‘김종인 합의추대론’을 둘러싼 전·현직 대표의 신경전으로 어수선한 더불어민주당이 25일 4·13총선에서 참패한 광주를 찾았다. 이번 광주 방문은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의 총선 후 첫 지방일정으로 진영, 양승조 의원 등 비대위원들과 정세균 의원, 김부겸 당선자 등 당 중진급 인사들이 함께했다.

광주 연합뉴스
이날 지도부는 호남을 찾아 당을 재정비하는 데 나섰지만, 전당대회 연기론이 계속 불거지는 등 총선 이후 들뜬 당 안팎의 분위기는 가라앉지 않았다. 김 대표는 앞으로 문재인 전 대표를 만나지 않겠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내가 들어보지 않은 얘기가 나왔기 때문에 말을 만들어서 사후에 하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는다”면서 “(문 전 대표와) 단둘이 만나는 일은 없겠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여전히 불쾌감을 드러냈지만, 문 전 대표는 최근 논란이 언론에 의해 증폭됐다고 보고 언급 자체를 하지 않기로 했다. 문 전 대표 측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김 대표가 총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셨고 대선에서도 필요한 역할이 있는데, 언론이 사소한 진실 다툼으로 두 분 틈을 자꾸 벌리는 걸 원하지 않는다. 저희는 이 문제에 일절 코멘트하지 않겠다”라고 전달했다. 앞서 문 전 대표는 김 대표와의 저녁자리에서 “경선은 어떻게 할 수 있겠느냐. 당 대표를 하면 상처를 받게 된다”고 말했다고 했지만, 김 대표는 이 같은 대화를 나눈 사실이 없다고 주장해 논란이 됐다.
당 일각에서는 이 같은 논란을 총선 승리로 잠시 잠복한 당내 갈등의 전조로 바라보고 있다. ‘김종인 합의추대’가 어렵게 된 상황에서 전대 연기론에 조금씩 무게가 실리는 것도 자칫 전대 개최로 당내 갈등이 증폭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언론에 “만약 전당대회를 하게 되면 바로 총선 패러다임은 다른 프레임으로 바뀌게 된다”면서 “일정 기간 총선 민의대로 끌고 나가는 것이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면서 전대 연기를 주장했다. 김 대표는 전대 연기론에 대해 “내가 관여할 일이 아니다”고 답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6-04-2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