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내가 원조친박…과거냐 미래냐 선택”
수정 2014-06-08 15:43
입력 2014-06-08 00:00
“당청 견제기능 부족…오픈 프라이머리 도입해야”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이 ‘정권재창출’을 전면에 내세우고 당권 도전을 공식화했다.김 의원은 8일 여의도 당사에서 7·14 전당대회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이제 우리는 과거냐, 미래냐 선택을 해야 한다”면서 “새로운 체제, 새로운 생각으로 미래를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박근혜 정권의 성공만이 새누리당의 정권재창출을 보장한다”면서 “당청간 견제기능이 그간 부족했다면 (앞으로) 대통령에게 국민의 목소리를 올바르게 전달하는 밝은 눈과 귀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출마선언에는 안형환 의원과 권오을 전 의원, 허숭 캠프 대변인 등 측근이 함께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공천권 행사하지 말라는 김영우 의원 등 일각의 요구에 대한 입장은.
▲ 정치가 국민의 혐오와 지탄의 대상이 된 것은 정당민주주의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정당민주주의의 요체는 공천권을 권력자로부터 빼앗아 국민과 당원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당 대표가 되는 길을 당권을 잡는다고 하는데, 당권에서 ‘권력 권(權)’자를 빼겠다.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게 정당민주주의의 요체다.
--이번 전당대회를 친박 서청원 의원과 비박 김무성 의원의 구도로 보는 시각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나.
▲ 지난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박근혜 후보가 무려 80% 지지로 당선됐다. 나머지도 박 후보를 위해 열심히 일했다. 지금 당선된 이후 친박, 비박을 가르는 것 자체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언론에서 주로 그런 표현을 쓰고, 은근히 그런 것을 즐기는 사람이 있다.
내가 친박 원조다. 내가 친박 울타리를 만들었다. 날 비박으로 분류해 가지치기하는 것이 이해가 안 된다. 난 비박이라고 생각한 적이 하루도, 한 번도 없었다.
--건강한 당정청 관계는 어떤 것인가.
▲ 박근혜 정권은 새누리당 정권이다. 새누리당은 국정의 동반자가 돼야 한다. 그 부분이 부족했다고 생각한다.
--돈 봉투 선거를 없애기 위한 구체적 방법은 무엇인가. 청년층과 스킨십을 위한 방안은?
▲ 전당대회뿐 아니라 공천과정에서 많이 줄기는 했지만 돈 봉투 문제가 있었다. 그런 것을 없애기 위해선 오픈 프라이머리로 가야 한다. 이 부분은 여야 간에 합의하고 법을 바꿔야 하는 문제지만, 야당도 원한다고 생각한다.
청년층은 대등한 입장에 놓고 소통해야 한다. 부단한 소통을 통해 청년의 생각을 반영하는 제도를 만들겠다.
--상향식 공천 과정에서 부작용이 발생한 게 사실이다. 보완할 점은 있나.
▲ 어떤 제도든 부작용이 있지만, 그게 어려워 과거로 회귀해선 안 된다. 그 모든 것을 해결할 방법이 오픈 프라이머리다.
--경쟁자로 거론되는 서청원 후보에 대해 한마디 해 달라.
▲ 답변을 사양함을 용서해 달라.
--최근 지방선거 유세과정에서 나온 ‘총리직 제안 거절’ 발언이 논란이 됐는데.
▲ 억울하다. 전날 언론에서 나의 총리설이 유력하게 보도됐고, 지역 유세에서도 질문이 있었다. 내 답변이 당에 남아 정치 발전에 힘을 쏟겠다는 것이었는데, 청와대 제의를 거절했다는 식으로 기사가 났다. 한마디로 오보였다.
--지방선거 결과가 이겼다고도 졌다고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후 정국 해법은 무엇인가.
▲ 국민이 우리에게 마지막 기회를 줬다고 생각한다. 두 번의 기회는 없다. 정당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 존재한다. 그러기 위해선 활력이 넘쳐야 한다. 활력 넘치는 정당을 만들기 위해 출마했다. 정권 재창출을 반드시 이루겠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을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생각은.
▲ 일리가 있지만, 전당대회가 지나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검토해봄 직도 하다고 생각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