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어르신도 편하게… ‘모두를 위한 TV’ 함께 즐겨요”

정서린 기자
수정 2023-05-23 02:05
입력 2023-05-23 02:05
접근성 강화하는 LG전자
기계치·외국인 등 누구나 손쉽게조건·상황 맞게 맞춤형 TV 구현
수어 화면 커지고 음성 이중 출력
“하반기 인공지능 자막 기능 추가
TV 음성 1.2초 만에 화면에 표시”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인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만난 LG전자 TV상품기획팀 팀원들은 이날도 ‘모두를 위한 TV’를 구현할 수 있는 전략 짜기와 아이디어 공유에 한창이었다.
고객의 페인 포인트(불편함을 느끼는 지점)에서부터 고객 가치를 실천할 것을 강조해 온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경영 철학에 발맞춰 다양한 고객층에게 쉽고 편리한 접근성, 만족도 높은 시청 경험을 선사하려는 여정은 최근 LG전자가 TV 제품에서 구현하고 있는 ‘접근성 강화 기능’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올해 TV 제품에는 수어 방송 화면 영역을 3가지 단계로 자유롭게 키웠다 줄일 수 있는 기능을 적용한 데 이어 장애, 노화 등의 이유로 청력이 약한 고객이 가족과 함께 TV를 보면서도 자신에게 맞는 음량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TV 스피커와 블루투스 기기에 음향을 동시에 출력하는 음성 이중 출력 기술을 구현한 것이다.
올 하반기에는 ‘인공지능(AI) 자막’ 기능을 새로 더할 예정이다. TV에서 나오는 말을 1.2초 만에 자막으로 띄워 주는데 이를 AI가 프로그램 자체에서 나오는 자막과 겹치지 않도록 시청에 방해받지 않는 공간으로 자동으로 옮겨 주는 기능이다. 뉴스뿐 아니라 요즘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막이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 등을 감안한 배려다.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 고객들은 언어 정보를 전적으로 자막을 통해 받아들이며 TV를 감상하는데 프로그램 자체 자막이 뜨면 서로 겹쳐 방해받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TV에 나오는 말들을 1.2초 만에 자막으로 신속하게 띄워 주면서도 AI가 기존 자막 영역을 피해 화면에 배치해 줍니다. 한글뿐 아니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지역의 80여개 언어를 인식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귀로 듣기 어려운 전 세계 고객들에게 더 나은 시청 경험을 안겨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장효희 책임)

LG전자 제공
“처음에 고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물었을 때 일반인인 우리가 쉽게 쓰는 기능들에 장애를 지닌 고객들은 아예 접근하지 못하고, 그런 기능이 있다는 것조차 모른다는 데서 충격을 받았죠. 접근성 강화는 진정성을 갖고 해야 한다고 느낀 계기였습니다.”(조현포 팀장)
실제 바뀐 접근성 강화 기능을 써 본 장애인 고객들은 “이런 게 있었느냐”며 놀라기 일쑤다.

LG전자 제공
볼링을 좋아하지만 시각장애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영상의 소리만 들어 오던 한 고객은 TV에서 음성 지시를 통해 유튜브 볼링 영상을 찾아보곤 새로운 재미에 푹 빠졌다.
“스마트폰으로 뿌옇게만 보다가 TV의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유튜브에서 볼링 영상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걸 처음 안 데다 큰 화면으로 미약하게나마 공이 굴러가고 핀이 쓰러지는 걸 느끼는 등 난생처음 생생한 몰입감을 경험했다고 하셨죠.”(오 책임)
LG TV가 지향하는 ‘모두를 위한 TV’는 신체적, 정신적 취약계층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디지털 문맹이나 영상에 익숙한 젊은 세대, 고령층, TV 시청을 귀찮아하는 사람 등 다양한 상황과 조건, 환경에 놓인 고객들을 모두 고려해 각각에 맞춤한 개인화된 차별화 서비스를 선보이려는 것이다.
“음성 이중 출력 기술만 해도 고령층이나 청각장애인뿐 아니라 수험생 자녀를 둔 아빠가 조용히 TV를 시청하는 등 다양한 장면에서 사용할 수 있죠. 이처럼 개개인의 조건과 관계없이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TV를 만드는 것, 투자 대비 수익을 생각하면 쉽지 않은 행보지만 우리가 하지 않으면 바뀌지 않는다는 신념으로 한 걸음씩 더 나아가야죠.”(조 팀장)
정서린 기자
2023-05-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