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붕 두 은행’ 번호표 반반씩… 어르신들 “2곳 같이 쓰니 더 편해”

황인주 기자
수정 2022-09-06 01:35
입력 2022-09-05 21:38
KB국민·신한銀 공동점포 가보니
경기 양주·경북 영주서 시범 운영
수익 확대·디지털 약자 포용 효과
창구·직원수 기존 대비 40% 줄어

5일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손을 잡고 첫선을 보인 경기 양주시의 공동점포에서는 고객이 문을 열 때마다 안내 직원이 다가가 어느 은행에 찾아왔는지 묻는 낯선 광경이 펼쳐졌다. 한 지붕 아래 두 은행이 있는 공동점포는 금융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오프라인 점포를 줄여 나가던 은행들이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은행 이용이 갈수록 어려워진다는 지적이 쏟아지자 내놓은 대안이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이날부터 경기 양주시와 경북 영주시에서 공동점포 운영을 시작했다. 공동점포에서는 대출, 예적금 가입, 외환 등 기존 영업점과 다름없이 모든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날 두 은행의 업무를 한 번에 마친 김금례(65)씨는 “휴대전화는 혹시나 버튼을 잘못 누를까봐 잘 안 쓰게 된다”며 “두 은행을 따로 방문할 필요 없이 한 곳에서 업무를 해결할 수 있어서 더 편했다”고 말했다.
양주시 공동점포에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창구가 각 4개씩 마련돼 있었다. 대기 번호표를 뽑는 곳도, 현금자동입출금기(ATM)도 절반씩 나뉘어 있었다. 규모가 크지는 않았지만, 대기하는 공간의 앉을 자리도 부족하지 않았고 은행 업무를 보기에는 큰 지장이 없었다. 점포를 찾은 자영업자 이진욱(31)씨는 “은행이 이런 방식으로 비용을 아끼면 고객에게도 어느 정도 혜택이 돌아오지 않겠느냐”며 “불편함은 느끼지 못했다”고 말했다. 물론 두 은행이 함께 있는 모습에 어색하고 불편해하는 고객도 있었다.
이 공동점포가 만들어지기 이전에는 두 은행이 각각 점포를 운영했다. 당시 두 은행의 거리는 불과 70m 떨어져 있었다. 점포가 분리돼 있을 때 두 은행을 합쳐 12개였던 창구는 8개로, 직원은 16명에서 9명으로 줄었다. 은행 간 장벽을 허물어 오프라인 점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직원수는 줄이고, 임대료도 아끼게 된 것이다.
실제로 은행권은 디지털 전환과 효율화를 이유로 점포를 대거 폐쇄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6월 기준 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점포수는 3398곳으로, 지난해 말보다 135곳 감소했다. 이에 고령자를 비롯한 취약계층이 은행을 제대로 이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은행들은 지난해 10월 ‘공동점포 시범운영 검토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대안을 논의했다. 현재 공동점포 외에도 우체국과의 영업 제휴, 편의점 점포 등 다양한 형태의 대안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글·사진 황인주 기자
2022-09-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