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본부 “유람선승객 전화,내용없이 17초만에 끊겨”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9-30 16:45
입력 2014-09-30 00:00
30일 홍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유람선 바캉스호 좌초 사고와 관련, 소방방재청은 “119로 신고전화가 결려 왔으나 아무런 내용 없이 전화가 끊겼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사고를 최초로 신고한 이모(50)씨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사고 순간 곧바로 119에 전화를 걸었지만 통화를 하지 못했고 다시 112에 신고했다”며 “112에 전화를 걸어 홍도 유람선에 사고가 났다고 몇번을 소리쳤지만 이디냐고만 계속 물었고 전화 감도가 떨어진다고 해 끊어버렸다”고 말했다.

방재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9분 19초에 전남소방본부가 이 승객의 신고전화를 받고 “여보세요, 여보세요”를 2회 반복하며 통화를 시도했으나 웅성거림만 들렸고, 17초 후 전화가 끊겼다.

이후 구조를 요청하는 추가 전화는 없었으며 오전 9시 14분 7초에 전남경찰청으로부터 ‘홍도 유람선에서 구조요청이 있었는지’ 문의하는 전화가 왔다고 방재청은 전했다.

전남소방본부는 약 3분 후인 9시 17분에 전남경찰청 112로부터 구조 협조요청을 받고, 구조헬기 출동지령을 내렸다.

현장으로 출발한 전남·광주소방본부 등의 헬기 7대는 구조 종결 소식을 듣고 일부는 복귀했으며 일부는 현장에서 환자들을 이송했다.

전남소방본부는 좌초 사고 상황이 종결된 후 17초만에 끊긴 전화번호를 확인한 결과 유람선 승객의 전화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전남소방본부의 한 관계자는 “소규모 화재가 나더라도 신고전화가 동시에 몰려드는데 구조를 요청하는 전화가 없었기에 당시 끊어진 전화만으로 사고 가능성을 유추하기는 어려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