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막아라…설도 잊은 채 방역 ‘안간힘’
수정 2014-01-31 11:51
입력 2014-01-31 00:00
공무원, 군인, 경찰 투입 방역초소 24시간 운영오리 농가 인근 성묘객 발길 돌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설인 31일 전남 나주시 남평읍에 설치된 조류 인플루엔자(AI) 방역초소에 근무 중인 정우진(44) 나주시청 주무관은 “힘들지 않으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지난주 AI로 확정 판정을 받은 한 오리농가에서 살처분 작업을 했던 정 씨는 이날부터는 방역초소 근무에 투입됐다.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 방제복을 입고 8시간을 2교대로 근무해야 한다.
방역초소 옆에 마련된 컨테이너에서 따뜻한 차를 마시며 언 손을 녹여보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난생처음 살처분 현장에 투입된 그는 당시의 기억이 생생하게 남아있다.
정 씨는 “오리도 소중한 생명을 가진 존재인데,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며 “설 연휴에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으면 좋겠지만, 농민들 마음을 생각하면 반드시 AI를 막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설 연휴에도 공무원 507명, 경찰 160명, 군인 94명, 축협 직원 27명, 일용직 250명 등 1천38명을 투입해 115곳의 방역초소를 운영하고 있다.
사람이 많이 오가는 터미널과 역 등에는 방역발판을 설치했다.
영암과 나주, 해남 등 오리 농가 인근을 찾은 성묘객들은 이날 방역초소에서 출입 통제를 하는 바람에 발길을 돌려야 했다.
한 성묘객은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가족과 함께 성묘를 하러 왔는데, 방역초소에서 출입을 제지해 돌아와야 했다”며 “먼 길로 돌아가든지, 아니면 올 설은 성묘를 못할 것 같다”고 전했다.
자식 같은 오리와 닭을 묻은 농민들은 올해 설이 설 같지 않다.
AI가 확산될 것을 우려해 도시에 사는 자식과 친척들도 발길을 끊었다.
농장 인근에 있는 산소도 먼 길을 돌아가거나 아예 성묘도 포기했다.
오리 1만여마리를 살처분해야 했던 한 농민은 “지금은 전화할 기분이 아니다”며 정중하게 인터뷰를 거절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