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노조 극한 대치…민노총 건물안팎 ‘아수라장’
수정 2013-12-22 16:51
입력 2013-12-22 00:00
4시간만에 120명 연행’경찰 강제진입 규탄’ 집회도
철도파업 14일째인 22일 새벽 서울 정동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에 경찰의 강제 진입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긴장감이 절정에 달하고 있었다.
민주노총 관계자 등은 경찰이 철도노조 지도부 체포를 위해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 강제 진입을 결정했다는 관측이 나돌던 지난 20일 오후부터 건물 1층 입구를 막고 비상 대기 중이었다.
경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철도노조 지도부 체포 작전을 전격 개시하기로 하고 오전 8시 20분께 경향신문사 건물 주변에 47개 중대 총 4천여명의 경찰을 투입했다. 안전을 위해 경향신문사 앞 정동길의 차량 진입이 전면 통제됐다.
경찰의 강제 진입은 건물 현관 입구를 막고 있던 노조 관계자에게 경찰이 김명환 철노노조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지도부에 대한 체포영장을 제시하면서 본격 착수됐다.
체포영장 제시에도 노조 관계자와 일부 시민들이 길을 터주지 않자 경찰은 3차례 해산 경고 후 1층 입구를 막아선 사람들을 강제로 끌어내기 시작했다.
건물 13∼15층에 있는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로 진입하기 위해서 경찰은 비상구 계단이나 엘리베이터가 있는 1층 로비를 우선 확보해야 했기 때문이다.
경찰은 입구를 막아선 통합진보당 김미희, 오병윤 의원 등을 모두 격리 조치한 뒤 최루액을 뿌리며 2개의 유리문을 강제로 열고 1층 내부로 진입했다.
노조원들은 현관에 있던 대걸레 등 집기를 집어던지고 13층 노조 사무실에서 소화전을 이용해 1층으로 물을 뿌리는 등 강하게 반발하며 경찰의 건물 진입을 저지하려 애썼다.
13층 사무실에 있던 한 조합원은 창문 밖으로 ‘철도는 국민의 것’이라고 쓴 현수막을 내걸고 시민에게 철도노조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기도 했다.
경찰은 진입 작전이 시작된지 4시간이 지난 오후 1시께 120여명의 노조 관계자를 대거 연행하고 나서야 비로소 1층 진압을 완료했다.
/
25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 저지하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자동문 틈 사이로 경찰이 노조원들을 향해 최루액을 쏘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철도노조 지도부가 은신한 서울 중구 민주노총 앞에서 김명환 위원장 등 지도부 검거에 나선 대규모 경찰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에어매트리스를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 로비에서 민주노총 노조원들이 경찰 진입에 맞서 서로 팔짱을 끼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철도노조 지도부가 은신한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경찰이 지도부 검거에 나선 가운데, 조합원들이 철도 민영화에 반대하는 내용이 담긴 유인물을 뿌리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앞에서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에 나선 경찰들이 1층 로비에서 저항하던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로비로 연결되는 자동문을 깨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로비로 연결되는 자동문을 깨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앞에서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에 나선 경찰들이 1층 로비에서 저항하던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앞에서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에 나선 경찰들이 1층 로비에서 저항하던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 저지하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 저지하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있다.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 저지하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철도노조 지도부가 은신한 서울 중구 민주노총 앞에서 김명환 위원장 등 지도부 검거에 나선 대규모 경찰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에어매트리스를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주성 기자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철도노조 지도부가 은신한 서울 중구 민주노총 앞에서 김명환 위원장 등 지도부 검거에 나선 대규모 경찰 병력이 건물 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이 진입을 막는 민주노총 노조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파업 14일째인 22일 오전 철도노조 지도부가 은신한 서울 중구 민주노총 앞에서 김명환 위원장 등 지도부 검거에 나선 대규모 경찰 병력이 에어매트리스를 설치한 뒤 건물 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민주노총 노조원들이 입구를 막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입구 유리를 깨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입구 유리를 깨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 입구에서 경찰과 민주노총 노조원들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경찰의 체포영장 강제 집행이 시작된 22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건물 1층에서 오병윤 통합진보당 의원이 경찰 병력 사이에 쓰러져 있다. 연합뉴스 -
경찰이 파업과 관련해 체포영장이 발부된 철도노조 지도부에 대한 검거 작업에 본격 착수한 22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이 있는 경향신문사 건물로 경찰 병력이 들어가며 이를 막는 오병윤 통합진보당 의원 등 노조원들을 끌어내고 있다.
연합뉴스 -
경찰이 파업과 관련해 체포영장이 발부된 철도노조 지도부에 대한 검거 작업에 본격 착수한 22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이 있는 경향신문사 건물로 경찰 병력이 들어가며 이를 막는 노조원들을 연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22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앞에서 철도노조원들이 입구를 지키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민주노총 사무실에는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집행부가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노조원들은 경찰의 구속영장 강제집행에 대비해 입구를 봉쇄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명환 위원장 등 철도노조 지도부들이 은신해 있는 것으로 알려진 13∼15층 노조 사무실로 경찰이 진입하기 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밤 늦게까지 대치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경찰이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에 강제 진입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경향신문사 건물 주변에는 철도파업을 지지하는 사회시민단체 회원 수백명이 몰려 경찰의 강제 진입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 중 일부는 경향신문사 건물 안으로 진입을 시도하다 이를 막는 경찰과 충돌하면서 주변 일대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