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놓고 골프치는 공직자 없겠지만 그래도 내수 진작에는 도움 될 것”
수정 2016-04-26 23:10
입력 2016-04-26 23:02
관가·업계 ‘골프 허용’ 반색
경제 부처의 한 국장은 “대통령 말씀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골프를 내놓고 치는 고위 공직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경제부처의 한 과장은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곤란해질 수도 있는 데다 경계 태세 강화 등으로 골프를 마음 편하게 즐기기엔 한계가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서울청사에 근무하는 한 국장급 공무원은 “공무원들이 직접 자기 돈을 내고 치는 골프는 얼마든지 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동안 공직 사회에서 골프 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다들 쉬쉬하면서 쳤다”며 “대통령 말 한마디에 남의 눈에 구애받지 않고 치진 않겠지만 그래도 예전보다는 나아지지 않을까 싶다”고 털어놨다.
골프업계는 골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바뀌게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박정호 한국골프장경영협회 회장은 “골프장업계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공직자가 골프를 치면 이제 골프에 대해서도 다른 스포츠처럼 긍정적인 인식으로 바뀔 것”이라며 “골프가 활성화되고 대중화되면 고용 창출과 내수 경기 촉진, 지역 경제 활성화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배권 대중골프장협회 회장은 “공직자가 골프를 치더라도 가격이 저렴한 대중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했으면 좋겠다”면서 “공직자가 자기 돈을 내고 대중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하면 국민 인식도 더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6-04-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