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세계은행 총재, 에볼라 여행금지주장 비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0-17 09:56
입력 2014-10-17 00:00

“불난 집에서 문 틀어막는 격”코피 아난 전 유엔사무총장도 국제사회 더딘 대응 질타

미국 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공포가 퍼지고 발병국을 거친 항공기 입국을 거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자 김용 세계은행 총재가 이를 비판하고 나섰다.

김 총재는 16일(현지시간) 로이터 기후변화회담에서 에볼라 발병국의 항공기 입국을 막는 여행금지 조치는 효과적인 전략이 못 된다며 “국경을 폐쇄하자는 것은 마치 집이 불타고 있는데 방 안에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에 젖은 수건을 끼우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김 총재는 “불은 끄지 않으며 번지기 마련”이라며 “에볼라 공포가 확산 돼서 국경을 폐쇄하게 된다면 우리는 핵심을 놓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8일 토머스 에릭 던컨이 에볼라 감염으로 사망하고 그를 치료하던 의료진 2명의 감염 사실도 잇달아 확인되면서 에볼라 감염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이에 존 베이너 하원의장을 비롯한 일부 미국 의원들은 에볼라 확산을 막기 위해 발병국 항공기의 미국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고 공개 촉구하기도 했다.

코피 아난 전 유엔사무총장도 이날 BBC방송 프로그램 뉴스나이트를 통해 에볼라가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국제사회가 이를 방기했다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아난 전 총장은 “국제사회가 더 빠르게 대응하지 않는 점이 실망스럽다”며 “미국과 유럽에서 에볼라가 발생하자 국제사회가 갑자기 경각심을 가지는 것을 볼 때 만약 에볼라가 다른 지역에서 번지기 시작했으면 사정은 달라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프리카 국가들은 더 빠르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었고 국제사회는 더 조직적으로 지원에 나설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서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번지고 있는 에볼라 감염자는 8천997명(12일 기준), 이 가운데 사망자는 4천493명에 이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