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노동자 87% 검진해보니…폐암 의심 일반인의 35배

김지예 기자
수정 2022-12-01 14:03
입력 2022-12-01 12:01
1% 넘는 187명 폐암 의심…4706명 이상 소견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가 집계한 급식종사자 저선량 폐 CT 검사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가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중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건강검진을 받은 학교 급식 종사자 1만 8545명 중 1.01%인 187명이 폐암이 의심되거나 매우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 기준 35세 이상 65세 미만 일반인 여성의 폐암 발병률인 0.0288%보다 35배 가량 높다. 또한 검사자 중 28.78%(4706명)은 양성·경계선 결절이 있거나 폐암이 의심되는 이상소견을 보였다.
이번 결과는 지난달 서동용 민주당 의원이 학교 급식실 노동자의 폐 질환 검진 결과 분석보다 검사수와 의심 환자 비율이 증가한 것이다. 당시 분석에서는 검사자 8301명 중 0.73%인 61명에게서 폐암이 의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도교육청에서는 지난해 2월 학교 급식실 노동자가 폐암을 산재로 최초 인정받은 후 급식실 노동자를 대상으로 저선량 폐 CT 촬영을 포함한 폐암 건강검진 전수 조사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급식실의 전체 검사 대상자 2만 1393명 중 86.69%의 검사를 진행했고 내년 2월 말까지 검사를 모두 완료할 예정이다.
강 의원은 “환기시설 개선 조치가 완료된 학교는 없고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개선 계획이라도 수립한 곳도 17개 시도교육청 중 단 네 곳”이라며 “2023년도 교육부 예산안에도 이와 관련된 편성 항목은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