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속 우영우와 다른 현실, 발달장애인 10명 중 7명은 취업 못해
박찬구 기자
수정 2022-08-06 14:57
입력 2022-08-05 15:41
장애인고용공단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6월 기준 취업자는 29.3%
사회참여, 자립준비 이유가 절반 가까워
채용 사업체 부족하고 채용정보 알기 어려워
월 평균 임금은 100만원 남짓

5일 공단의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만 15세 이상 발달장애인 중 임금·비임금 형태로 취업해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은 6만 1388명으로 전체 발달장애인의 29.3%였다. 이 가운데 임금 근로자는 5만 4879명으로 취업자의 89.4%이고 3.3%가 자영업자, 7.3%는 무급 가족종사자였다.
발달장애인 취업자가 일을 하기로 결심한 주된 이유로는 ‘돈을 벌기 위해’가 32.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당당히 사회에 참여하려고’(27.0%), ‘자립을 준비하기 위해’(23.0%) 등의 순이었다. 발달장애인 취업자가 근무하는 분야는 ‘사업, 개인, 공공서비스 및 기타’가 4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조업’(31.6%), ‘도소매, 음식 숙박업’(12.1%) 순이었다.
현재 직장(사업체)으로 취업을 선택한 이유로는 가장 많은 34.3%가 ‘업무가 장애인의 능력 수준에 맞아서’를 꼽았다. 반면 ‘직장(사업체)에서 채용해줘서(이 일자리 말고는 대안이 없어서)’란 응답(21.6%)도 적지 않았다.
또한 20.6%는 ‘발달장애인을 채용하는 사업체 자체가 없거나 부족했다’고 답했고, ‘발달장애인 채용정보나 사업체의 특성 정보를 알기 어려웠다’(13.9%)고 호소한 응답자도 있었다. 발달장애인 취업자의 직업을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가 77.6%로 가장 많고, ‘서비스 종사자’(8.1%),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5.4%) 순이었다.
취업 과정도 험난했다. 당사자 또는 보호자가 취업을 희망했을 때 최근 3년 내 일자리를 구해본 경험이 있는 비율은 13.3%에 불과했다. 구직활동 시 겪은 애로사항으로는 ‘발달장애인을 채용하려는 일자리(사업체) 자체가 없거나 부족함’이 46.1%로 가장 많았다.
월 평균 임금은 100만 8000원이며, 25.5%는 50만원 미만을, 29.4%는 50만~100만원 미만을 받았다. 200만원 이상을 받는 발달장애인은 4206명으로 전체의 7.4%에 그쳤다.
취업을 희망하는 사업체 유형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34.1%), ‘공공근로·복지일자리 등’(20.1%), ‘장애인 표준사업장, 자회사형표준사업장’(16.2%)이며, 업무 종류는 제조(37.7%), 음식(17.7%), 서비스(14.1%) 순이었다.
보호자가 발달장애인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당당히 사회에 참여하길 원해서’가 39.1%로 가장 많고, ‘자립을 준비하기 위해서’(35.8%)가 뒤를 이었다. 발달장애인 취업을 희망하지 않는다고 한 보호자 가운데 47.0%는 그 이유로 ‘장애로 인해 취업이 어렵다고 생각해서’라고 답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