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간 18개 작품… 이젠 ‘예수’ 영화 찍겠다”
김정화 기자
수정 2022-08-11 01:28
입력 2022-08-10 21:46
배창호 감독 ‘영화의 길’ 출간
창작 고민 등 대담식으로 풀어
“영화는 고통·상처 껴안는 예술
흥행에 너무 압박 받아 아쉬워
가장 높은 사랑 ‘종교’ 다룰 것”

연합뉴스
1980~90년대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배창호(69) 감독이 책으로 돌아왔다. 배 감독은 1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배창호의 영화의 길’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책은 배 감독이 영화를 만들며 고민했던 생각과 느낀 점 등을 엮은 대담집이다. 유년시절부터 데뷔작 ‘꼬방동네 사람들’, ‘고래사냥’, ‘깊고 푸른 밤’, ‘정’에 이어 최신작 ‘여행’까지 배 감독의 전작을 시간순으로 엮었다. ‘마차 타고 고래고래’를 연출한 안재석 감독이 대담자로 나섰다.
배 감독은 “한 작품, 한 작품 주어진 여건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돌이켜 보면 모두 미진했다. 리마스터링 작업을 할 때 잘라 내고 싶은 장면이 있었지만 꾹 참았다”며 웃었다. 이어 “그래도 당시 실력대로, 수준대로 최선을 다해 찍었으니 아쉬움은 없다. 그때는 그 시대로서 존중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반세기 가까이 영화 현장을 지켜 온 만큼 최근 변화에 대해 느끼는 점도 남다르다고 한다. 특히 거대 자본에 의해 영화가 좌지우지되는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배 감독은 “요즘 젊은 감독들의 추진력, 상상력, 현장을 지휘하는 능력 등에 정말 감탄한다”면서도 “흥행에 대한 제작사 등의 압박이 너무 많은 게 아닌가 한다. 감독이 편집권을 100% 갖고 있다면 또 다른 작품들이 나왔을 거라 생각한다”고 했다. “영화는 인간의 고통과 상처를 껴안는 보편적 창조성을 지닌 예술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나 최근 유행하는 영화들은 체험과 액션을 강조하는 경향이 크죠. 이 시대적 현상을 뭐라고 할 수는 없지만 더 다양한 영화가 만들어지면 좋겠습니다. 그러려면 제작·투자의 쏠림 현상도 없어져야겠죠.”
그가 앞으로 만들고 싶은 영화는 예수그리스도의 생에 관한 것이다. 그는 “‘황진이’ 촬영 때 창작의 뿌리가 종교에서 비롯한다고 느꼈고, 세상의 가장 높은 사랑에 대한 얘기를 해 보고 싶었다”고 했다. 이어 “내가 과연 이 얘기를 할 수 있을까 두렵고 고통스러웠지만, 믿음이 돌아오며 두려움이 사라졌다”면서 “이젠 때를 기다리고 있고, 언제든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서머싯 몸의 말 중 ‘많은 사람이 한 편의 뛰어난 소설을 쓸 수 있지만, 여러 편을 오랫동안 쓸 수 있는 사람은 적다’는 말을 좋아합니다. 오랜 세월 여러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여건이 우리에게 오기를 바랍니다.”
김정화 기자
2022-08-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