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인 1910∼1920년대 지어진 서울 종로구 필운동 배화여고 건물 2개가 등록문화재가 됐다.
이미지 확대
종로구 배화여고 건물, 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이 배화여고 과학관(왼쪽)을 등록문화재 제672호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으로, 배화여고 본관(오른쪽)을 등록문화재 제673호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캠벨기념관’으로 각각 등록했다고 6일 전했다.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문화재청은 배화여고 과학관을 등록문화재 제672호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배화여고 본관을 등록문화재 제673호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캠벨기념관’으로 각각 등록했다고 6일 밝혔다.
배화여고는 미국인 캠벨(1852∼1920) 선교사가 1898년 여성교육과 개신교 전파를 위해 종로구 내자동에 설립한 학교로, 이때의 건물은 남아 있지 않다. 이후 1915년 지금의 필운동 자리로 이전했는데, 이곳 건물이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됐다.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이라는 문화재 명칭은 1898년 배화학당 설립 당시 이름인 ‘캐롤라이나 학당’에서 따왔다.
이미지 확대
1927년 배화여고 본관·과학관·생활관 일제강점기인 1910∼1920년대 지어진 서울 종로구 필운동 배화여고 건물 2개가 등록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은 배화여고 과학관을 등록문화재 제672호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배화여고 본관을 등록문화재 제673호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캠벨기념관’으로 각각 등록했다고 6일 전했다. 서울시 제공=연합뉴스
1915년 2층 규모로 건립됐고, 1922년 3층과 4층(지붕층)이 증축됐다. 건물 앞면과 뒷면에 각각 출입구와 계단이 있고, 계단을 중심으로 좌우에 교실이 배치돼 있다.
앞서 배화학원 이사회는 2015년 6월 배화여대 기숙사 신축을 이유로 이 건물을 철거하려 했으나, 동문과 학부모의 반대로 계획을 취소하고 문화재 등록을 추진한 바 있다.
1926년 건립된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캠벨기념관’은 4층(지붕층 포함) 건물로, 1977년 대규모 보수를 거쳤으나 원형이 잘 보존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