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들의 방황 통해 기성세대의 가치관 꼬집어
수정 2014-10-17 02:32
입력 2014-10-17 00:00
EBS 고전영화극장 ‘졸업’
‘졸업’(The Graduate·1967년)은 1960년대를 대표하는 영화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스틴 호프먼의 희극적인 표정과 몸짓, 앤 밴크로퍼드의 중후한 연기와 캐서린 로스의 청초한 매력이 산뜻한 대사와 어우러져 전 세계적으로 인기몰이를 했다. 작은 키에 볼품없는 외모의 무명배우 더스틴 호프먼의 등장은 미남 미녀만이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관습을 깨드리는 계기가 됐고, 더스틴 호프먼은 스타덤에 올랐다.
주인공들의 심리적인 상황을 적절하게 잡아낸 독특한 카메라 기법은 마이크 니컬스 감독에게 아카데미 감독상을 안겼다. 뉴 아메리칸 시네마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사회의 낙오자가 아닌 동시대의 보편적 젊은이를 등장시켰다는 게 특징이다. 영화는 순수함을 잃어버린 채 물질적, 육체적 욕망에 충실한 기성세대의 속물근성이 젊은 세대에게 얼마나 큰 상처를 안겨주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미국 작가 찰스 웨브의 장편소설을 각색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0-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