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2989억원 들인 서울시 신청사 ‘건축학개론’
수정 2012-05-26 00:28
입력 2012-05-26 00:00
시민공간 40% vs 디자인 ‘생뚱’
100년 뒤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자랑해 온 서울시의 신청사가 오는 9월 새 주인을 맞는다. 시민과 함께하는 박원순 시장의 시정철학을 반영이라도 하듯 시민을 위한 공간이 약 40%나 된다. 전국 지자체 청사 중 처음으로 에너지 효율 1등급 인정도 받았다. 하지만 2989억원이라는 세금을 쏟아부었음에도 청사 모양이 생뚱맞다는 비판이 끊이질 않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박원순 시장은 25일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외관은 중요하지 않다. 기능에 무게를 싣겠다.”고 밝혔다.
신청사는 시 공무원들의 집무공간이자 시민의 문화공간이기도 하다. 연면적 9만 788㎡ 가운데 2만 7139㎡(약 30%)가 시청 직원의 사무공간이다. 본청 공무원 5505명 중 절반을 밑도는 2205명만 입주한다. 복도 등 30%의 공용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시민을 위한 공간이다. 시민청과 다목적홀, 하늘광장 등이 시민을 위한 공간이다. 신청사 입주로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사용해 온 옛 시청사는 서울도서관으로 거듭난다.
오형철 시 총무과장은 이전작업과 관련, “별관에 있거나 전세를 얻었던 부서들이 이전해야 하는 등 최종정리까지는 3개월쯤 걸릴 것”이라면서 “오는 9월 입주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2-05-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