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딩 드레스 입고…무덤친구 찾고…‘웰다잉’ 관광버스 투어에 빠진 일본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8-26 01:52
입력 2014-08-26 00:00

초고령사회 日은 지금 ‘종활’ 붐

잔서(殘暑)가 가시지 않은 지난 일요일(24일) 오전. 단체관광 출발지로 애용되는 일본 도쿄역 근처의 한 주차장에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여느 투어와 다른 점이 있다면, 백발의 참가자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것. 이 투어는 잘 죽는 법을 배우기 위해 모인 ‘종활(終活) 버스투어’다. 한국의 ‘웰다잉’에 해당하는 종활은 최근 일본 고령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면서 투어 상품까지 등장했다.

이미지 확대
장의시설 묘지 둘러보는 참가자들 ‘종활버스투어’ 참가자들이 지난 24일 일본 도쿄 미나토구에 있는 장의시설 ‘고에키샤 다카나와회관’에 있는 묘지를 둘러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장의시설 묘지 둘러보는 참가자들 ‘종활버스투어’ 참가자들이 지난 24일 일본 도쿄 미나토구에 있는 장의시설 ‘고에키샤 다카나와회관’에 있는 묘지를 둘러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이날 투어에 참가한 인원은 33명. 혼자 참가한 사람이 절반 이상이었다. 평균 연령은 60대, 여성이 85%가량이다. 카운슬러도 동행해 종활과 관련한 조언을 해줬다. 호텔 뷔페를 포함해 도쿄 도심의 종활 시설을 돌아보는데 참가비는 1인당 8980엔(약 9만원)이다.

맨 먼저 찾아간 곳은 ‘종활 페스티벌’이 열린 도쿄 하마마쓰초. ‘종활 페스티벌’은 장례 관련 기업들이 만든 종활카운슬러협회가 지난해부터 개최한 박람회다. 지난해에는 2100명이 방문했지만 올해는 부스도 45개로 늘어났고 방문객도 지난해보다 4~5배 불었다. 사전에 특별 입장권을 받은 투어 참가자들은 1시간 20분 동안 뿔뿔이 흩어져 부스를 꼼꼼히 돌아봤다. 수의 대신 입는 ‘엔딩 드레스’를 판매하는 회사, 전문 헤어와 메이크업 아티스트를 대동해 영정 사진을 찍어주는 시니어 전문 사진관, 유품정리 전문 회사 등 다양한 업체가 있었다.

오후 1시 30분. 점심을 먹은 관광객들은 도쿄 미나토구의 한 종합장례시설로 향했다. 장례식장과 묘지, 납골당을 두루 갖추고 있었다. 지난해 1월 문을 연 이곳은 도쿄 도심에 위치해 인기가 좋다. 후손이 없어도 묘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영구 공양 무덤’을 운영하고 있는데 묘지 1기(60개)는 완판됐고 2기는 100개 중 60개가량이 이미 팔렸다. 1인용·2인용·4인용이 있고 애완동물도 함께 묻힐 수 있다. 13년이 지나면 납골당에 안치한 뒤 10년을 더 보관하고 그 후에는 다른 망자들과 합사해서 계속 절에서 공양을 지내준다. 2인 기준으로 최소 150만엔(약 1500만원)이라는 관계자의 설명을 참가자들은 진지한 얼굴로 들었다.

투어에 참석한 오마루 아이코(56·가명·여)는 “아이가 없어 죽고 난 뒤에 무덤을 돌봐줄 사람이 없다. 또 부모님이 언제 돌아가실지 몰라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니시오카 쓰토무(73·가명)는 “자식들에게 폐가 되고 싶지 않다. 장례식에 필요한 현금 정도는 제대로 남겨 놓고 싶다”고 말했다.

3년 전부터 종활 붐이 일면서 일본에는 여러 가지 새로운 장례문화가 나타나고 있다. ‘종활버스투어’를 기획한 여행사 포케카루클럽의 이와사키 마미코는 “남편과 함께 묻히고 싶지 않은 여성들은 무덤에 같이 들어갈 ‘무덤친구’(하카토모)를 구하기도 한다.



또 ‘생전식’(生前式)이라고 해서 자신이 살아 있는 동안 장례식을 미리 경험해보는 사람도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최근에는 헬리콥터를 타고 유골을 뿌리거나 우주에 유골을 뿌리는 상품도 있다고 귀띔했다. 종활 카운슬러 고이즈미 사토시는 “1인 가구가 급증해 자신의 사후를 돌봐줄 가족이 없는 이들이 주로 종활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 사진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08-2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