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베(神戶)시의 회사원 나카지마 유스케(中嶋祐輔·29) 씨가 시즈오카(靜岡)현 이토(伊東)시의 해안에서 물놀이 도중 실종됐다가 약 22시간 만인 28일 오전 40㎞가량 떨어진 해안에 극적으로 상륙했다. 29일 일본 시즈오카(靜岡)현 시모다(下田)시에서 취재에 응하는 나카지마씨. 연합뉴스
29일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일본 고베(神戶)시의 회사원 나카지마 유스케(中嶋祐輔·29) 씨는 27일 친구들과 시즈오카(靜岡)현 이토(伊東)시의 한 해안에서 헤엄치던 도중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 물결에 휩쓸려 실종됐다.
평소 25m 정도 수영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유스케는 실종된 지 22시간가량 지난 28일 오전 약 40㎞ 떨어진 시즈오카현 시모다(下田)시 해안에 무사히 상륙했다.
그는 실종될 당시 핀, 수중 마스크·스노클, 반바지형 수영복, 긴소매 래쉬가드(물놀이할 때 피부를 보호하는 옷)를 착용하고 있었으나 튜브 등 부유물을 지니고 있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나카지마 씨가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은 ‘누워 뜨기’ 자세와 수온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는 큰대(大)자 모양으로 누운 상태로 물에 떠서 숨 쉴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했다.
이 자세는 부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고 움직임이 적어 체력 소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됐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한동안 물결이 거칠어 해안으로 돌아가는 것은 엄두도 못 내고 물에 떠서 구조를 기다렸다.
의식이 혼미해지기도 하고 잠이 들기도 하며 하룻밤을 지내고 나서 자신이 해변 가까운 곳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깨달은 나카지마씨는 마지막 남은 힘을 짜내 손발을 저었고 마침내 해안에 닿았다.
그는 순찰 중이던 인명구조원에게 자신의 이름과 표류 사실을 설명하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특별한 이상은 없었다.
나카지마 씨는 “여기서 죽을 수 없다는 생각에 떠 있는 것만 생각했다”고 현지 해상보안부 측과의 대화에서 당시 상황을 회고했다.
나카지마 씨가 착용한 옷이 어느 정도 보온효과를 냈고 수온이 그리 낮지 않았던 것도 저체온증을 막는 데 도움이 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일대 수온이 25도 전후라고 전했다.
’일본 다이버 경보 네트워크(DAN JAPAN)의 노자와 데쓰(野澤徹) 훈련지도자는 “수온이 높고 물결이 잔잔하더라도 하루 가까이 바다에 표류하다 살아남는 것은 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영으로 체력을 소모하지 않고 떠서 구조를 기다린 것이 바른 판단이었다”고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