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이국종 조명… 귀순병 수술장면 첫 공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수정 2017-12-06 00:29
입력 2017-12-05 22:32

총알 엑스레이 사진 등 담겨

몸속 기생충엔 “영양실조 증거”
이 “北병사, 깨진 항아리 같았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으로 귀순한 북한 병사가 응급 수술을 받는 장면이 5일 CNN을 통해 공개됐다. 연합뉴스
지난달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으로 귀순한 북한 병사가 응급 수술을 받는 장면이 5일 CNN을 통해 공개됐다.
연합뉴스
“북한 병사가 자유를 찾아 남한으로 탈출했다는 것이 자랑스럽다. 그가 깨어났을 때 여기가 진짜 남한이냐고 물었고 난 병실에 걸린 태극기를 가리켰다.”

수원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에서 이뤄진 북한 귀순병사 오청성(24)씨의 수술 화면이 미국의 뉴스채널 CNN을 통해 5일 단독 보도됐다. 약 1분 47초 분량의 영상에는 판문점으로 귀순하는 과정에서 5발의 총상을 입고 미군 블랙호크 헬기로 이송돼 병원에 도착할 때부터 수술대에서 수혈하는 장면과 오씨의 몸에서 꺼낸 기생충 등이 담겼다. 뉴스 앵커는 “충격적일 수 있다”며 영상을 소개했고, 공개된 영상에는 오씨의 허락이 있었다는 자막이 달렸다.
이미지 확대
이국종 교수. 연합뉴스
이국종 교수.
연합뉴스
오씨의 수술을 맡은 이국종 교수는 CNN 기자에게 “도착 당시 낮은 혈압과 충격으로 그가 죽어가는 상황이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 교수는 “어려운 일을 해낸 북한 병사가 자랑스럽고 존경스럽다”며 “그의 빠른 회복에 의사로서 놀랐다”고 말했다. 영상에는 오씨의 몸속 장기에 박혀 있는 총알이 생생하게 드러난 엑스레이 사진도 있었다. CNN은 오씨의 몸에서 빼낸 27㎝짜리 기생충과 그가 앓는 간염 등은 영양실조의 증거라고 해석 자막을 붙였다. 회복 후에 오씨는 미국 영화와 한국 가요를 즐겨 듣고 있지만 여전히 지구상에서 가장 삼엄한 경계를 뚫고 탈출한 악몽을 꾼다고 설명했다.

헬기 착륙지에서부터 오씨를 돌본 이 교수는 당시 상황에 대해 “북한 병사의 상태가 깨진 항아리와 같아서 충분히 수혈하는 것도 어려웠다”고 표현했다. 군화를 신은 오씨에게 피를 수혈하고 심폐 소생을 하는 장면을 본 한국의 네티즌들은 “북한 병사의 종아리가 너무 말랐다”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수술 영상에서 오씨의 얼굴은 공개되지 않았다.

수술 장면을 단독으로 CNN에 제공한 이 교수는 “아직 귀순자를 심문할 단계는 아니다”라면서 “그가 북한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많은 질문을 할 수 있겠지만, 오씨의 감정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7-12-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