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오타고 대학의 지질학자 마르코 브레나는 “몇 장의 사진을 볼 때 화산재가 담요처럼 섬과 바다를 덮고 있는 것 같다”며 “일부 물고기를 멸종할 수 있고 어장 복구에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지 확대
미국 위성업체 맥사 테크놀로지가 18일 공개한 위성사진은 남태평양 통가 인근 ‘흥가 통가·흥가 하파이’ 해저 화산 폭발 전후의 변화를 극명하게 보여 준다. 지난해 4월 10일 촬영된 사진(위)에는 화산 왼쪽에 하파이섬의 모습이 뚜렷하게 보이지만, 지난 6일 해저 화산이 화산재와 연기를 내뿜는 상황이 관측됐다(가운데). 화산 폭발 사흘 후인 18일 촬영된 사진에서는 섬의 면적 대부분이 파도에 침식돼 사라졌다(아래). 이날 통가 정부는 화산 폭발 이후 처음으로 공식 집계를 통해 3명이 사망하고 수 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망고섬과 포노이푸아섬 등 일부 부속 섬들의 주택 대부분이 파괴되는 등의 피해를 당했다고 밝혔다. 맥사 테크놀로지 AFP 연합뉴스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하는 산호군락의 파괴는 해수면 상승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통가는 기후위기로 연간 해수면 높이가 세계 평균의 2배인 6mm씩 상승하고 있다. 통가 정부는 산호초와 해초, 맹그로브숲 등 천연 방파제 가치를 연간 1100만 달러(약 130억원)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 15일 분화한 해저화산의 폭발력은 TNT 5~10메가톤의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수석과학자 제임스 가빈은 2차 세계대전 말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한 핵폭탄의 500배가 넘는 폭발력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통가 화산폭발 여파로 1만㎞ 밖 페루서 원유 유출 사고 발생 17일(현지시간) 남미 페루 카야오주 벤타니야의 해변이 유출된 기름으로 뒤덮여 있다. 남태평양 통가의 해저화산 폭발 이후 1만㎞ 넘게 떨어진 페루 태평양 연안에도 높은 파도가 치면서 인근 정유공장에서 하역 작업을 벌이던 유조선에서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2022.1.18 카야오 AP 연합뉴스
통가 정부는 화산 분화 4일만인 18일 첫 공식 성명을 발표하고 “15m의 쓰나미에 해변 지역이 강타당해 집이 무너지고 최소 3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다만 국토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파괴와 인명피해는 피한 것으로 보인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