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정체된 K뷰티 시장, ‘럭셔리 브랜드’로 재도약
심현희 기자
수정 2020-01-31 02:53
입력 2020-01-30 21:32
LG생건 ‘후’ 매출 2년 연속 2조 넘어

롯데면세점 제공
30일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 주요 화장품 기업들은 글로벌 럭셔리 화장품 수요 증가 추세에 맞춘 경쟁력 있는 상품에 집중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화장품 사업이 연간 매출 4조 7458억원, 영업이익 897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1.5%, 14.7% 성장했다고 밝혔다. 특히 미·중 무역분쟁, 홍콩 사태 등 악재가 쏟아졌음에도 해외 매출이 전년 대비 54%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숨마’ ‘더 퍼스트’ 매출액도 50% 이상 증가
럭셔리 화장품 3인방(후·숨·오휘)의 중국 시장 내 활약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특히 지난해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행사인 광군제에서 에스티로더, 랑콤, SK-Ⅱ에 이어 매출 4위를 기록한 ‘후’는 2년 연속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숨, 오휘의 고가 라인인 ‘숨마’와 ‘더 퍼스트’의 매출도 전년 대비 50% 이상 늘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해외 럭셔리 제품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최근 일본 제품들이 중국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것도 이 럭셔리 시장을 타깃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모레는 초고가 ‘시예누’ 론칭… 中 시장 공략
국내 1위 업체 아모레퍼시픽이 최근 롯데면세점과 손잡고 초고가 브랜드 시예누를 론칭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30만원대부터 최고 100만원대까지 가격으로 구성된 시예누는 아모레퍼시픽의 고급 브랜드인 설화수보다 더 비싸다. 최근 2년간 중국 시장 실적이 좋지 않았던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럭셔리 라인을 보강해 가장 큰 시장을 제대로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0-01-3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