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더 오른다” 9년 만에 최고 찍은 기대인플레이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수정 2022-04-27 09:33
입력 2022-04-27 08:18

“금리 더 높아질 것” 전망도 역대 최고 수준

이미지 확대
일반인들이 예상하는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이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금리 수준 전망지수도 역대 최대치를 찍었고, 주택 가격 전망지수도 한 달 새 10포인트가 올랐다. 물가·금리가 모두 뛸 것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물가 관리에 비상등이 커졌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앞으로 1년간 물가상승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1%로 집계됐다. 한 달 전보다 0.2% 포인트 높아진 수준으로, 2013년 4월(3.1%) 이후 가장 높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를 기록한데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기대인플레이션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면 투자, 소비 등에 영향을 미치고, 물가 관리는 더욱 어려워진다. 이번 조사는 이달 12∼19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높은 수준인데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함께 사람들의 활동이 늘어나는 점 등도 영향을 미쳤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차질 등 공급 측면의 물가 상승요인도 뉴스로 자주 접하면서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률을 높게 예상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에 이어 이달에도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금리 수준 전망지수도 141로, 2008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를 찍었다. 이 지수는 6개월 후 금리가 지금보다 오른다고 대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100을 웃돈다. 금리 상승을 전망한 일반인의 비중이 그만큼 커졌다는 얘기다.

아울러 1년 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일반인이 증가하면서 주택 가격 전망지수도 114로, 한 달 새 10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9월 이후 지난 2월까지 줄곧 하락했던 이 지수는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달부터 상승세로 전환했다.

이달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보다 0.6포인트 상승한 103.8로 집계됐다. CCSI는 소비자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수로, 100보다 높으면 소비자 심리가 장기평균(2003~2021년)보다 낙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홍인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