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커머스, 10명 중 6명 이용…소비자 피해도 15%

장진복 기자
수정 2022-04-06 15:29
입력 2022-04-06 14:35

라이브커머스는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플랫폼을 이용해 누구나 제재 없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시스템이다. 홈쇼핑과 유사하지만, 홈쇼핑은 방송법 등에 따라 허가받은 사업자가 해당 채널을 통해서 상품을 판매한다.
서울시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를 통해서 20~50대 소비자 4000명 중 라이브커머스 이용 경험이 있는 23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답변자의 57.9%가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서 2020년에 조사한 27.4%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는 남성 57.9%, 여성 58.2%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연령대도 20대 58.9%, 30대 66.2%, 40대 61.2%, 50대 48.2%로 기록됐다.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주로 구매하는 상품 유형은 식품이 54.8%로 가장 많았고, 생활용품 44%, 의류 및 패션용품 39.5%, 농수산물 23.2%, 화장품/향수 19.3%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쇼핑 플랫폼은 ‘네이버 쇼핑라이브’가 84.1%로 가장 많았다. ‘카카오 쇼핑라이브’ 54.6%, ‘쿠팡 라이브’ 47.6%, ‘티몬 TVON’ 31.7% 순이었다.
피해 경험이 있다는 답변도 15.6%를 기록했다. 향후 라이브커머스 관련 피해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74.4%로 조사됐다. 주요 피해유형은 허위·과장광고가 60.1%로 가장 많았고, 불량·가짜 상품 판매(42.1%), 판매자 또는 플랫폼의 책임전가(32.7%), 잘못된 상품정보(30.5%), 교환·반품 거부(7.2%) 순으로 나타났다.
이병욱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은 “실시간 방송 판매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서 판매자에 대한 교육 및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