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보지말자, 여행 가지말자”… 코로나 속 여가생활 지출 급감

이영준 기자
수정 2022-03-01 19:03
입력 2022-03-01 13:25
통계청, 1인 이상 가구 실질지출 통계
코로나19 확산 이후 2년 새 지출 변화
가계지출 0.4%, 소비지출 0.6% 감소
교통비 13.9%, 오락·문화 12.2% 급감

예술의전당 제공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물가 영향을 제거한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실질지출은 328만 2743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인 2019년 4분기 대비 0.4% 감소했다. 가계 실질 소비지출은 245만 4786원으로 2019년 4분기보다 0.6% 줄었다. 비목별로는 교통비 실질 지출이 13.9%, 오락·문화 분야 지출이 12.2% 급감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여행과 공연 관람에 썼던 돈을 가장 많이 아끼게 된 것이다. 음식·숙박(-1.7%), 의류·신발(-2.8%) 등 외부 활동과 관련한 지출도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반면, 복권 지출은 2년 새 11.0% 급증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앞날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일확천금을 노리는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세금 등 비소비지출은 0.3% 늘었다. 소득세·재산세 등 경상조세는 18.2% 증가했다.가계가 씀씀이를 줄이면서 실질 지출 기준으로 산출한 지난해 4분기 평균소비성향은 역대 최저 수준인 67.3%로 떨어졌다. 평균소비성향은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 가운데 상품이나 서비스에 얼마를 소비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67.3%는 100만원을 벌 때 67만 3000원을 소비에 쓴다는 의미다.
세종 이영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