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 “법인분할 땐 재무건전성 추락… 노동조건 악화·고용 불안”
기민도 기자
수정 2019-05-29 00:51
입력 2019-05-28 22:50
현대重 노조 주총장 이틀째 점거 왜
2년 전에도 대규모 해고… 약속 안 지켜
대우조선까지 인수 땐 구조조정 필연적
이익·배당 오너家 챙기고 생산기지 전락”

울산 뉴스1
노조는 법인분할이 노동조건 악화와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주총에서 분할을 결정하면 회사는 중간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으로 쪼개진다. 부채 95%인 약 7조원을 떠안게 되는 현대중공업은 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가 된다. 재무건전성이 떨어진 회사에서는 노동조건이 후퇴하고 고용안정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노동자들은 “구조조정은 없고 근로조건도 유지된다”는 회사의 말을 믿지 않고 있다. 현대중공업 14년차 정규직 황모(37)씨는 “회사가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정서가 깔려 있다”면서 “2017년 현대중공업을 4개 회사로 쪼갤 당시에도 사측은 비슷한 약속을 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권오갑 부회장이 출근하는 종업원들에게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없다고 말하며 악수까지 해놓고 대규모 해고를 진행했다”고 비판했다. 조선업 구조조정은 2014년 본격화된 불황 이후 계속되고 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조선소 노동자들은 2018년 9월 기준 10만 1000명으로 2014년 말 대비 50.7% 감소했다. 황씨는 “2014년부터 본사와 하청을 합쳐 3만명 이상이 구조조정됐다”면서 “동네가 다 죽어가고 지역이 쓰려져가고 있다”고 말했다.
노동자들은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까지 인수하면 구조조정은 더 가속될 것으로 우려한다. 현대중공업의 한 노동자는 “대우조선과 겹치는 부분의 구조조정은 필연적일 것”이라면서 “이익과 배당은 중간지주사의 꼭대기에 있는 정몽준-정기선 부자가 챙기고 생산기지로 전락한 공장에선 해고의 칼바람만 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청 노동자들도 회사 분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 이형진(43) 사무장은 “우리는 뭉치기가 어려워 파업도 힘들다”면서 “정규직 노동자들이 공장을 멈춰 분할을 막아주길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20% 삭감된 임금이 체불까지 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부채가 많은 회사의 하청이 되면 미래는 뻔한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울산 시민들도 분할을 반대하고 있다.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서울로 이전하기 때문이다. 울산지역대책위원회가 지난 11~13일 울산 거주 만 19세 이상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8명(82.0%)이 법인분할과 본사 이전을 반대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19-05-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